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지훈 시에 나타난 자연 인식과 미의식의 범주 - 「고풍의상」, 「절정」, 「산방」을 중심으로 - (Category of Nature Awareness and Aestheticsin the poetry of Cho Jihoon -WITH a focus on “The ancient dresses” and “A top” and “Temple of room”-)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7.09
23P 미리보기
조지훈 시에 나타난 자연 인식과 미의식의 범주 - 「고풍의상」, 「절정」, 「산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1권 / 3호 / 199 ~ 221페이지
    · 저자명 : 박명옥

    초록

    조지훈은 시 생명의 본질을 자연으로 보았다. 그는 자연인 ‘경’과 정신적인 교감인 ‘정’을 감각적이고 미적으로 표현한 시를 우수한 시라고 하였다. 이처럼 조지훈 시의 본령은 자연의 발견에 있는데 한자문화권에서 자연이란 단순히 물질적 현상계를 의미하지 않고 인격화된 존재나 신적 존재, 또는 도나 진리의 구현체로 인식되었다. 경과 정, 객관과 주관과의 교융을 통해 그의 정서나 의식세계를 형상화 했던 조지훈은 동양문화권의 시적 형상 사유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지훈 시관의 핵심을 통합하는 시적 범주이자 그의 시 정신을 해명할 수 있는 주요 개념이다. 그가 바라보는 ‘자연’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 글은 조지훈의 작품과 시론을 통하여 조지훈이 동양문화권의 전통시론에서 자연성의 구현과 어떻게 접속하고 있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조지훈의 시와 시론이 지향하는 바와 한국시의 뿌리를 함께 살피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조지훈은 시의 세 가지 기본 성격을 <관조하는 시>와 <우아한 시>, <비장한 시>로 나누어 살폈는데, 이것은 그의 시관의 핵심을 통합하는 시의 범주라고 판단된다. 이는 한국 시의 전통에 심연을 이루는 동양 자연의 미학적 자질과 닿아있는 대목이다.
    조지훈은 시 「고풍의상」을 통해 우리 고유의 의상을 깊이 바라보고 그 본성을 파악하는 지적 직관, 즉 관조미를 보여주었고, 자연 속으로 들어가 내면적으로 그 자연을 느끼고 스스로가 그것의 생명과 함께 하나가 되는 물아일체의 경지인 <우아한 시>인 「산방」을 창작했으며, 시 「절정」에서는 인간과 인간 사이에 모순과 갈등이 슬픔을 불러일으키는 비장미를 보여준다. 조지훈은 이 시들을 창작함으로서 창작주체와 시적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자연성’이 구현되는 방식을 보여준다. 이처럼 조지훈은 서구적 근대서정시로는 충족시킬 수 없는 사유를 담기 위해서 자연표상을 통해 인생의 존재론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조지훈 시는 서정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전통에 심연을 이루는 동양의 미학적 자질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Cho Jihoon viewed nature as the elan vital of poetry, qualifying poems that express “Jung, 정/情” in union with “경/景” which nature is sensuously and esthetically as poesy par excellence. Thus to him the aim of the original realm of poetry was to discover nature, which in the cultural sphere of East Asia did not simply mean material phenomena but instead agnized it as a personified or deistic existence or as an embodiment of the way or truth. So one can tell that Cho, having embodied his ethos or conscious domain through the inter-fusion of gyong and jung,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did carry on the poetic form and traditional thinking of East Asia. Such is the poetic realm by which the core of his view of poetry can be integrated; it is also the key concept whereby his spirit of poetry may be explained. Nature as he saw presented itself in various 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how Cho Jihoon attempted to interface nature and its embodiment in the context of theories on traditional East Asian poetry in light of his works and theories of poetry. My study can thus be regarded as an endeavor to look at the aim of his poems and theories of poetry and the roots of Korean poetry simultaneously. Note that Cho viewed poetry in terms of Resolute, Contemplative, and Elegant types, namely a realm of poetry that integrates the very core of his view of poetry which in turn ties in with the esthetic properties of nature of the Orient wherein the tradition of Korean poetry is anchored.
    Through his poem entitled Image of Antiquity, Cho shows how he perceives the depth of the uniquely Korean costume, i.e. his intuitive intellect in the sense of contemplative esthetics while in The Zenith he lets the reader see the esthetics of resolute determination that evokes the sorrow of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between/among human beings. Through a poem of the Elegant type entitled The Corymb, he also personally demonstrates how the naturwüchsigkeit is embodied in the context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creating a poem and his audience. Note that Corymb signifies a state where one feels nature and feels becoming one with its life by entering it, as it were. In order to embed in his works of poetry the kind of thinking that defies embrace by ethos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modern West, Cho probed the existentialistic meaning of life by means of natural emblems. We are thus able to see that the poet under discussion does indeed carry on the esthetic properties of nature emblematic of East Asia in which traditions remain rooted both lyrically and spiritu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