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함석헌의 민주화 운동과 비판의 철학 - 『씨알의 소리』를 중심으로 - (Ham Suk-heon’s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philosophy of criticism in the 1970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7.08
26P 미리보기
1970년대 함석헌의 민주화 운동과 비판의 철학 - 『씨알의 소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25호 / 33 ~ 58페이지
    · 저자명 : 이상록

    초록

    함석헌은 70년대 민주화 운동사에서 대표적인 인물이지만, 그가 주장한 ‘민주주의’의내용은 70년대 민주화 운동 진영의 ‘민주 수호’․‘민주 회복’ 담론과 일치하지 않는다.
    어떤 의미에서 그는 저항운동가로서는 주류의 위치에 있으면서도, 사상가로서는 비주류의 위치에 서 있었다. 그의 저항철학은 당대 한국의 어떤 지식인보다도 넓고 깊었으며,근본주의적이었다.
    함석헌은 ‘씨됨’을 지배 권력에 맞선 저항으로부터 찾고 있다. 그에게 ‘저항’은 개체의 자기혁명 과정인 동시에 ‘전체’로서의 민중이 구성되는 과정이었다. ‘자유’와 ‘민주주의’의 이름으로 함석헌은 박정희정권과 유신체제를 비판하고 있으나, 1960∼70년대 비판적지식인들의 전형적인 자유민주주의 담론과는 차이가 있다. 여타 비판적 지식인들의 자유민주주의 담론이 유신헌법 이전 상태로의 복귀를 주장하는 대의 민주주의의 정상화에 놓여있는 반면, 함석헌은 ‘씨’의 정치적 주체화로서의 ‘자유 민주주의’를 주장하고 있다.
    함석헌의 저항철학은 씨알의 생명과 평화를 중시하는 그의 사상으로부터 나왔으며,낮은 자의 편에 서서 정치적인 것을 이해하고 그들의 입장에서 유신권력을 비판하였다.
    그의 철학은 다분히 초월적․종교적․계몽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지만, 노동자, 농민, 여성 등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려 노력한 그의 언론운동은 낮은 자의 편에서 ‘저항’을 몸소 실천하려는 현실주의적 태도이기도 하였다.
    함석헌은 당대의 주류적 흐름이었던 ‘선진국 따라가기, 경쟁주의, 빨리빨리 하기, 물질만능주의’ 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반시대적 고찰을 행하는 지식인이었다. 그는 서구에반대하여 동양을 추구하고, 물질에 반대하여 정신을 추구하는 등 이분법적 인식론과 세계관을 근본적으로 벗어나지는 못했다. 그렇지만 평화․자유․공동체를 존중하며, 가난하고억눌린 자들의 편에서 그들의 저항을 민주주의의 근본으로 생각했던 그의 철학은 신자유주의 시대에 새로운 민주주의를 구성하는데 여전히 중요한 참조점을 제공하고 있다.

    영어초록

    Ham Suk-heon was a representative figure in the Korean democratizationmovement in the 1970s, but the content of ‘democracy’ he advocated was inconsistentwith the ‘democratic protection’ and ‘democratic restoration’ discourse of thedemocratic movement in the 1970s. His philosophy of resistance was broader, deeper,and more fundamental than any intellectual in Korea at that time.
    Ham Suk-heon sought ‘becoming the people’ in their resistance against the rulingpower. For him, ‘resistance’ was the process of self-revolution of the individualas well as the formation of the ‘whole’ people. While other critical intellectuals’discourse on liberal democracy lay in the normalization of representative democracyclaiming the return to the pre-Yushin constitutional state, Ham Suk-heon insisted‘liberal democracy’ as the political subjectification of ‘people’. Ham Suk-heon’sphilosophy of resistance came from his ideas that emphasized the life and peaceof the people, and he stood on the side of the lower ones to understand the politicalthings and to criticize the ruling power from their standpoints. His philosophy washighly transcendental, religious, and enlightening, but his media campaign, whichtried to listen to the voices of workers, peasants, and women, was a realistic attitudeto personally practice "resistance”.
    Ham Suk-heon was an intellectual who reflects on the flow of the times in orderto escape from the mainstream flow of the contemporary era ‘to pursue advancedcountries, to compete, to speed up quickly, to materialism’. He was not fundamentallydevoid of dichotomous epistemology, such as seeking the Orient against the Westand seeking spirit against the material. However, his philosophy of respect for peace,freedom and community, and for their resistance on the side of the poor and oppressed, as the basis of democracy, still provide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for constituting a new democracy in neoliberal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