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아가씨>에 나타난 여성재현 연구: 여성성과 젠더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emale Representation of The Handmaiden : Focusing on Feminity and Gender Ideolog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7.08
38P 미리보기
영화 &lt;아가씨&gt;에 나타난 여성재현 연구: 여성성과 젠더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수록지 정보 : 씨네포럼 / 27호 / 167 ~ 204페이지
    · 저자명 : 민혜영, 박진선, 박무늬

    초록

    이 연구는 영화 <아가씨>가 재현하는 여성의 모습에 주목해 영화에등장하는 여성 캐릭터들이 소외와 억압의 대상에서 전통적 젠더 이데올로기에 도전하기까지의 재현 방식을 분석한다. <아가씨>는 일제치하라는 시대적 상황, 가부장제도, 그리고 남성적 질서로 지배되는 폐쇄적 공간을 허물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영화다. 본 연구는 <아가씨>의 전반적인 내러티브 구조와 함께 각 여성 인물들의 특성들을살펴보고, 영화의 영상미학적 요소가 젠더 이데올로기를 전복시키는데 어떠한 역할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영상미학적 요소들에 주목하여 텍스트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가씨> 는 세 가지의 변증법적 서사 구성을 통해 남성의 서사를 여성의 서사로 전유하여 내러티브의 주도권을 여성에게 부여한다. 즉 여성 주인공들은 남성적 질서체계에서 부차적인 존재로 재현되거나 남성에 의해 타자화되지 않고 독립적 여성의 주체를 형상화한다. 둘째, 여성 캐릭터들은 남성 권력이 극대화된 공간에서 남성을 조롱하고 응징하는권력을 얻음으로써 능동적 주체로 재현되며 남성 권력 및 가부장제는붕괴된다. 셋째, 영화는 두 여성의 동성애적 정체성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며, 남성 중심의 이성애적 시각이 아닌 여성의 시선에서 동성애를 재현하며 신분의 차이를 벗어난 수평적 관계로서의 섹슈얼리티를 보인다. 더불어 두 여성의 로맨스와 섹슈얼리티는 시대적인 해방의 서사 속에서 긍정적 결합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가씨>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억압되고 소외되었던 여성에 관한 페미니즘적 재현을 통해 새로운 여성의 주체성 및 여성성의 형성을 가능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features of women enacted in the movie The Handmaiden and analyzes the representative methodologies of multiple female figures who were under alienation and oppression to challenge the traditional gender ideologies. Text analysis was conducted with careful observations of overall narrative structure, character characteristics, and visual aesthetic compon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vie The Handmaiden uses the three dialectical narrative structures to appropriate male narratives to female narratives and give hegemony to female characters. Second, female characters are represented as active subjects by ridiculing and punishing men’s characters in an maximized male-dominance environment. Third, the movie does not propose objections to the homosexual identities of the two female characters rather visualizes homosexuality in women’s perspective than heterosexuality’s perspective. Also, the romance and sexuality of the two female characters are represented as the positive resolution in the narrative of epochal lib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