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9세기 진천 평산 신씨의 노비 소유와 노비의 존재양상 (The Slave Ownership and its Modalities of Being of Pyeongsan Shin Family in Jincheon from 17th to 19th Century)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5.08
42P 미리보기
17~19세기 진천 평산 신씨의 노비 소유와 노비의 존재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44권 / 217 ~ 258페이지
    · 저자명 : 김의환

    초록

    이 글은 진천 평산 신씨가 남긴 호구 자료를 분석하여 이들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이해하고, 노비의 소유 규모와 존재 양상을 살핀 것이다. 14명의 主戶가 1669년부터 1891년까지 8대 220여 년 동안 51건의 자료를 남겼다.
    노비 기재방식은 대체로 호구 자료마다 비슷하지만 시기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다. 17세기에는 외방노비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이름과 나이 등을 표기하였고, 특히 申繼의 자료에는 노비의 四祖까지 자세히 밝혀 철저하게 관리하였다.
    솔노비질․외거노비질․도망노비질의 분류가 체계적이지 않거나 이름과 나이가 정확하지 않은 것도 있고, 申繼와 申大源의 동일 식년 호적단자와 준호구는 노비의 수와 이름 일부가 일치하지 않다. 그리고 인접한 특정 식년의 자료 사이에 급격한 노비의 증감현상도 보이고 있다.
    평산 신씨는 호구 자료를 작성하는 단계부터 혼인한 아들 부부는 물론 형제 부부까지 함께 기재하는 예가 많았고, 반대로 혼인한 아들의 일부와 미성년 아들은 기재하지 않은 사례도 있다. 당시 호적단자는 合戶와 分戶를 거쳐 작성되었을 것이며, 호적대장에서도 다시 편호가 이루어졌을 것이다.
    평산 신씨가 보유한 노비는 1705년을 기점으로 크게 감소하여 300여 구이던 것이 1726년에는 27구에 불과하였다. 18세기 이후에는 50~20여 구를 넘지 못하였고, 19세기에는 10구 이하였으며, 19세기말에는 1구를 보유하는 정도였다.
    이들이 소유한 노비는 모두 1,463구이었으며, 솔거노비가 371구(25.4%)이고, 외거노비가 742구(50.7%)이며, 도망노비는 349구(23.9%)였다. 전체적으로 외거노비가 절반을 차지한 가운데 솔거노비와 도망노비는 비슷하였다. 외거노비는 선대의 묘소가 있는 금천에 90구(14.3%), 한성에 43구(6.8%), 공주에 53구(8.4%)가 있는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노비의 남녀 성비는 노가 719구(49.1%)이고, 비가 743구(50.8%)로 비슷하였다. 17세기에는 노와 비가 각각 312구(46%)와 366구(54%)였고, 18세기에는 365구(53.3%)와 320구(46.7%)였으며, 19세기에는 42구(42.4%)와 57구(57.6%)였다.
    노비의 나이는 17세기에 壯(16~50세)이 56%를 차지한 가운데 弱(15세 이하)과 老(51세 이상)의 비중은 비슷하였고, 18세기와 19세기에도 장년층이 40% 이상이었다. 미상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노동력이 큰 장년층이 62.9%를 차지한 가운데 21~50세가 51.5%였고, 1~20세 및 51세 이상은 48.5%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for fourteen people of Pyeongsan Shin Family to analyze hogu data which are for 220 years throughout eight generations from 1669 to 1891 and looked into the size of Shin Family ownership of slave and it the modalities of being with their socioeconomic status understood.
    The ways to register slaves depend on time. That is, outside slaves who were able to own their property in 17th century are classified by region and especially, the data offered by Shin Gye(申繼) revealed the details up to a slave’s the fifth generation. It is also classified the slaves by three types, such as resident slaves who lived with as his owner household slave, outside -resident slaves who are able to own their property and escaped slaves.
    But some slave names and ages were not accurate, despite the data of the same year, some cases didn’t match up one anther. In addition, these data show that the number of slaves sharply rose and fell around the same time. Pyeongsan Shin family put sibling couples along with son and wife from the first step to make the Pyeongsan Shin family’s hojukdanja(戶籍單子) and junhogu(准戶口). At that time, hojukdanja showed that it was brought some hogu(戶口) together or divided up to some extent.
    The slaves of the Shin family have greatly been decreased since 1705. In 1726, their numbers moving from approximately 300 people in 1705 to about twenty seven people in 1726. After that, this figure stayed between twenty and fifty people but in 19th century, the number was below ten people. Finally, in the end of the century, Shin family had only one slave.
    Shin family had a total number of 1463 slaves. Among them, resident slaves accounted for 25.4%(371) and 50.7%(742) of slaves were outside-resident slaves. The rest of them was escaped slaves accounting for 23.9%(349). Especially, outside-resident slaves has distributed over a variety of areas, ranging from Geumcheon and Hannyang to Gongju region with their ancestors’ graves.
    Slaves' gender ratio is 49.1 percent male(719) and 50.8 percent female(743). In 17th and 19th century, female slaves were a bit higher than male slaves but the former was lower than the latter in 18th century.
    In terms of age, aged 16~50 servants accounted for 62.9% and the percentage of slaves below age fifteen and above fifty one was similar in 17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