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충성의 후기시에 나타난 대안근대성(altermodernity)으로서 제주공동체 연구 (A Study on Jeju-community as the Altermodernity in Moon Choong-sung’s 2000s Poet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5.02
32P 미리보기
문충성의 후기시에 나타난 대안근대성(altermodernity)으로서 제주공동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100호 / 65 ~ 96페이지
    · 저자명 : 이은란

    초록

    본 연구는 문충성의 2000년대 이후 후기시를 중심으로, 그의 시에 나타난 대안근대성(altermodernity)으로서 제주공동체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의 제주 개발은 ‘국제자유도시’와 ‘세계평화의 섬’ 사업으로 요약된다. 이 시기 제주 개발은 표면적으로 자유, 협력, 상생, 평화 등의 가치를 강조하였으나, 그 이면에는 아시아와 태평양을 연결하는 제주도의 지리적 특성을 활용하여 국가의 경제발전을 도모하려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경제 논리가 작용하고 있다. 문충성의 후기시에서 2000년대 이후 제주 개발로 인한 제주공동체의 붕괴는 평화담론으로 희석될 수 없는 4ㆍ3의 상흔과 소외되어 버린 도민들의 현실, 생태계의 훼손 등으로 구체화된다. 이러한 시인의 비판의식은 현재 소멸된 제주공동체의 문화와 전통을 복원하여 대안근대성으로 제안하려는 생태적 상상력과 긴밀하게 연관된다. 공동체가 자치적으로 공유자원을 관리하고 공생해나가는 방식은 토착주의나 인종주의를 강조하는 반근대성(antimodernity)을 뛰어넘는다. 공동체의 자치적 전통은 신자유주의적 경제 논리에 저항하고, 국가 권력에 의해 공동자원을 착취하는 국가 및 제국주의에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00년대 이후 문충성의 시에서 두드러지는 자연물의 호명과 열거는 개체주의와 전일주의가 복합된 제주공동체의 지역정신을 뜻하는 ‘개체적 대동주의’와도 상통한다. 또한 ‘원담’, ‘돌담’은 섬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형성된 제주공동체의 생활양식을 상징한다. 그의 시에 형상화된 제주공동체의 문화와 전통은 ‘풀뿌리 민주주의’가 정착된 2000년대 이후에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국가 주도의 개발주의가 지닌 폭력성을 고발하고, 생태윤리를 확립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Jeju-community as a form of altermodernity in the late poetry of Moon Choong-sung after the 2000s. The development of Jeju in the 2000s was framed by the state-led initiatives of the “International Free City” and “Island of World Peace”. While these projects ostensibly promoted values such as freedom, cooperation, coexistence, and peace, they were in fact driven by the economic logic of neoliberal globalization. By exploiting Jeju’s strategic geographical position between Asia and the Pacific, the state promoted economic growth in the name of peace and development. In Moon Choong-sung’s later poetry, the collapse of the Jeju-community due to such neoliberal development policies is vividly depicted through the lingering wounds of the 4ㆍ3 Jeju Uprising, the marginaliz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destruction of the island’s ecological system—realities that cannot be concealed by the state’s peace discourse. His poetry articulates a strong critique of these systemic injustices and is deeply intertwined with an ecological imagination that seeks to restore Jeju’s lost cultural and communal traditions as a form of alternative modernity.
    The self-governing democratic traditions of the Jeju-community, which uphold democratic self-governance and collective resource management, challenge the exploitative nature of neoliberal capitalism and state power. These traditions move beyond antimodernity, which is often associated with nativism or racial nationalism, and instead advocate for a more inclusive and participatory communal model. The communal self-governance of Jeju resists the encroachment of state-led developmentalism and disrupts the imperialist logic that seeks to appropriate shared resources for economic gain. In this context, the frequent invocation and enumeration of natural elements in Moon Choong-sung’s poetry after the 2000s resonate with the concept of “Individual Corporativism”—a regional philosophy of the Jeju-community that integrates both individual autonomy and collective solidarity. Moreover, traditional structures such as “wondam” and “doldam” serve as powerful symbols of Jeju’s indigenous communal practices, which emphasize sustainable coexistence with nature. His poetic representation of Jeju’s cultural and political heritage is significant in that it not only exposes the continued violence of state-led developmentalism—despite the establishment of grassroots democracy in the 2000s—but also calls for an alternative political vision rooted in ecological ethics and self-determ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