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정주의 초기시에 나타나는 관능과 소진의 공간 메타포 연구 (Study on Spatial Metaphor of Sensuality and Exhaustion in the Early Poems of Jung-Joo Se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08.01
30P 미리보기
서정주의 초기시에 나타나는 관능과 소진의 공간 메타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30호 / 173 ~ 202페이지
    · 저자명 : 박선영

    초록

    본 연구는 흐루쇼브스키의 지시틀 이론을 적용하여 미당 서정주의 초기시에 나타나는 관능과 소진의 공간 메타포를 분석함으로써 시 텍스트에 생성되는 새로운 의미를 밝히면서 시인의 인식의 확대와 갱신을 파악하고자 한다. 정교한 은유 구조로 직조되어 있는 미당 초기시의 관능과 소진의 공간은 밀실 은유와 ‘없음’의 공간 은유로 나타난다.
    2장에서 관능의 공간은 성적 쾌락에 도취된 밀실의 은유를 생성한다. 그의 시 「대낮」에서 ‘핫슈먹은 길’은 다양한 이질적인 층위와 결합하여 시적 의미를 생성하고, 「麥夏」에서 ‘보리밭’은 이질적인 공간의 층위와 병치를 이루면서 은유적 의미를 생성한다. 이들은 지시틀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욕망이 극대화되는 밀실의 공간을 의미화한다. 이 공간들은 표면적으로는 대지임에도 불구하고 개방성이 아닌 유폐성을 지닌 역설적인 공간으로 나타난다. 3장에서 소진의 공간은 모든 것이 소멸된 ‘없음’(無)의 공간 은유를 생성한다. 그의 시 「정오의 언덕에서」에 등장하는 ‘파촉’은 고독과 죽음의 공간을 표상함으로써 무한 욕망에 의한 소진의 징후를 보여준다. 그리고 「만주에서」의 ‘여기’, 「멈둘레꽃」의 ‘용천의 하늘밑’은 이질적인 층위의 지시틀이 상호작용 함으로써 모든 것이 소멸된 ‘없음’의 공간으로 의미가 통합된다. 이는 인간의 무질서한 성적 쾌락의 끝이 죽음의 심연과 다르지 않다는 에로티즘과 같은 맥락에 있다.
    이와 같이, 미당의 초기시에 나타난 관능과 소진의 공간은 다양한 층위의 이질적인 지시틀로 변전하면서 새로운 시적 의미를 창조한다. 이때 미당이 지닌 여러 겹의 복잡한 사유로부터 발원한 다층적인 지시틀의 변전 과정은 그의 인식의 확장과 갱신을 잘 보여준다.

    영어초록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new meaning being formed in the text of early poems of the poet, Midang, Jung-Joo Seo and to understand extension and renewal of recognition of the poet by analyzing space-metaphor of sensuality and exhaustion appearing in his poems by means of application of Hrushovski's frames of reference. Space of sensuality and exhaustion in early poems of Midang being composed of elaborate metaphor builds secret room's metaphor and metaphor of 'nothing' space.
    In Chapter 2, the space of sensuality generates the metaphor of secret room which is transported by sexual pleasure. In his poem 「The broad daylight」, 'the road that ate Hotshu' generates meaning by combining with diverse and heterogeneous layers and in 「summer barley」, ‘barley filed’ generates metaphorical meaning by making juxtaposition with the layers of heterogeneous space. By the interaction between frames of reference, they give meaning to the space of secret room where desire is maximized. Though such space is wide land, it is described as paradoxical space which is not opened, but closed. In Chapter 3, the space of exhaustion generates the space metaphor of 'nothing' where everything is perished. Appearing in his poem, 「On the hill of noon」, ‘Pachok’ shows the symptom of exhaustion by unlimited desir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space of solitude and death. 'Here' in 「In Manchuria」and 'Under the sky of Yongcheon' in 「Meomdolre flower(dandelion)」, the meaning is united to the space of 'nothing' where everything is perished owing to the interaction of frames of reference on heterogeneous layers. This is in the same context with erotism which means that the end of promiscuous sexual pleasure of human being is not different from the abyss of death.
    As stated above, the space of sensuality and exhaustion described in the early poems of Midang creates new poetic meaning as it transforms to heterogeneous frames of reference of diverse layers.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multi-layered frames of reference originated from Midang's complicated reasons in several folds well shows the expansion and renewal of his recogn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