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氏聯珠集』 硏究 - 李廷龜 家系의 文學傾向을 中心으로 (A Study on 『Leessiryeonjujip』 - Focusing on literary trend of Lee Jeong-gu family lin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5.12
26P 미리보기
『李氏聯珠集』 硏究 - 李廷龜 家系의 文學傾向을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86권 / 107 ~ 132페이지
    · 저자명 : 이명희

    초록

    『李氏聯珠集』은 李廷龜로부터 李明漢과 李昭漢 , 다시 八相으로 이어지는 가계구도에서 그 문학적 전통이 충실히 전승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선집으로 주목을 요한다.
    李廷龜·李明漢·李昭漢·八相이 지닌 천부적인 자질은 그들의 문학적 표출이나 경향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 그들은 단련과 인위적인 수사를 통한 시구의 선택보다는 감성을 기반으로 한 자연스러운 표출이 많았으며 구점과 구호가 그러한 일례이다. 그래서 이정구가계의 문학은 唐風이라는 평가를 많이 받는다.
    八相의 시를 논하는 다양한 평어에 다소 표현의 차이가 있으나 상당히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豪放과 飄逸로 일컬어지는 이정구·이명한·이일상 3대의 평어가 가장 유사하다. 이 유사성은 가계문학의 전승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
    이정구와 김창협은 진정성 추구라는 측면에서 동일한 목표를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농암 김창협은 이정구의 단점으로 체재에 엄격함이 부족하고 격조에 古雅함이 없다는 점을 들었다. 八相은 선대의 문학경향을 계승하면서 몰개성적으로 지어지던 당풍이 가진 한계와 이정구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였다. 八相은 이러한 점을 어느 정도 극복하여, 수사에 있어서 진전을 보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남용익이 이정구가계의 문학에서 이명한을 가장 높이 평가한 부분에서 알 수 있듯 八相이 선대의 문학을 뛰어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八相이 명암 이해조와 진암 이천보로 이어지는 가계의 문학 계승에서 중심에 위치하며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한 점은 분명하다. 『李氏聯珠集』은 바로 이 八相의 문학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정구가계인 명암 이해조과 진암 이천보의 문학에 있어서도 농암 김창협과 삼연 김창흡의 영향력이 작용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들의 시를 선대의 문학과 비교해볼 때 심도의 차이가 있을지언정 선대의 평어와 유사한 ‘豪放’이라든지 ‘淸曠’과 ‘雋逸’ 같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가계의 시풍이 면면히 이어지고 있음을 입증한다.
    이정구가계의 문학과 그 경향은 주로 시대적 동인이나 교유의 측면에서 문학적 영향관계를 구명하는 기존 연구와 달리, 가계문학의 전승이라는 측면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영어초록

    『Leessiryeonjujip』 requires attention as an important anthology of poetry showing that the literary tradition has been handed down faithfully in the family structure leading from Lee Jeong-gu to Lee Myeong-han and Lee So-han, Pal Sang again.
    The natural qualities of Lee Jeong-gu·Lee Myeong-han·Lee So-han·Pal Sang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literary expression or trends. Rather than selecting poetic phrases through training and artificial rhetorics, they usually expressed their emotions naturally and punctuations and mottos are the examples. So the literature of Lee Jeong-gu family line is generally evaluated to be the Tang style.
    Despite somewhat differences in expression, various comments that discuss Pal Sang’s poems have significantly similar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comments of three generations of Lee Jeong-gu·Lee Myeong-han·Lee Il-sang called as broadness and excellence are the most similar.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this similarity originated from the transmission of household literature.
    Lee Jeong-gu and Kim Chang-hyeop had the same goal in terms of the pursuit of authenticity. However, Nongam Kim Chang-hyeop pointed out Lee Jeong-gu’s disadvantage that rigor is lacking in the system and there is no elegance. While inheriting the literary trend of previous generations, Pal Sang constantly tried to escape the limits of the Tang style made de-individually and the limits of Lee Jeong-gu. By overcoming these points to some degree, Pal Sang showed progress in rhetorics.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Nam Yong-ik evaluated Lee Myeong-han the most highly in the literature of Lee Jeong-gu family line, it is difficult to see that Pal Sang exceeded the literature of previous generation. But it is obvious that Pal Sang is located in the center in the literary inheritance of the household leading to Myeongam Lee Hae-jo and Jinam Lee Cheon-bo and played an important link role. 『Leessiryeonjujip』 can be said to be quite valuable in terms of containing the literature of Pal Sang.
    The fact is that Nongam Kim Chang-hyeop and Samyeon Kim Changheup’s influence also acted on the literature of Myeongam Lee Hae-jo and Jinam Lee Cheon-bo in Lee Jeong-gu family line. Comparing their poems with the literature of previous generations, however, despite a difference in depth, they are evaluated to be ‘broad’ or ‘clear’ and ‘excellent’ similar to comments of previous generations. This proves that the poetical style of the family line has been inherited continuously.
    Unlike existing research investigating the literary influence relationship mainly in terms of contemporary drivers or social intercourse, the literature and trend of Lee Jeong-gu family line is a good example showing the need for research in terms of inheritance of family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