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楊簡 『楊氏易傳』 연구 - 王弼易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Yang Jian’s Commentary of The Yijing(易經)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Wang Bi’s Philosophy of Yijing -)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4.12
40P 미리보기
楊簡 『楊氏易傳』 연구 - 王弼易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39호 / 171 ~ 210페이지
    · 저자명 : 이동욱

    초록

    왕필(王弼)은 한역(漢易)의 상수역학을 의리역학의 관점에서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역학사에서 왕필의 가장 중요한 기여는 역학을 사실과 예측의 세계에서 가치와 해석의 세계로 옮겼으며, 일자(一者)에 대한 사유를 통해 『주역』의 의리역학적 해석틀을 제시하고 상수역학의 번잡함을 버렸다는 점이다.
    양간은 왕필의 『주역』해석 이론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양간은 정이와 주희의 역 해석 방식을 비판함으로써 심학의 이론적 정체성에 경학사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송대 역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왕필의 역학철학을 검토하고 정이와 주희와는 다른 방식의 해석을 통해서 왕필의 역학 철학을 수용할 여지가 있었을 것이다. 왕필과의 비교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양간 역학관의 중요한 특징은 세 가지이다. 첫째, ‘취의설’이라는 의리역학의 해석방법을 수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일관되고 철저하게 적용하고 있다. 둘째, 왕필이 제기한 『주역』 해석의 원리이자 세계의 통일성을 의미하는 ‘일자(一者)’ 관념을 수용하고 있으며, 양간은 이를 ‘도심(道心)’이라는 개념으로 표현한다. 셋째, 양간은 『주역』 해석을 위해 ‘도심무체(道心無體)’라는 독창적인 명제를 제시하는데, 본체를 무(無)로 규정하는 이 명제는 왕필과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것이자 양간 주역관의 심학적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다.
    왕필의 역학철학과 양간의 『양씨역전』의 비교를 통해서 필자는 두 가지를 말하고자 한다. 첫째, 양간 역학철학의 특징은 그가 송대 신유학의 문제의식에 갇히기 보다는 송대 신유학의 사유 범위를 넘어서서 심학의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려는 시도를 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둘째, 심학은 주로 불교와의 관련성이 거론되는데, 초기 상산학파의 이론적 모색과정에서 도가 혹은 위진현학과의 이론적 관련성을 세심하게 살펴보는 것이 심학 이론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조명하는 데 필요하다.

    영어초록

    Wang Bi had made an enormous effort to emphasize the moral aspect of The book of Changes rather than the numerological aspect of that. In the history of the science of divination, he had made two important contribution : the one is that he interpreted Yijing as the book of value and interpretation rather than the book of fact and prophecy. Another is that he analyzed Yijing with more clarity and coherence by the concept of the Ultimate Reality(一者) which Wang Bi also called the Nonexistence(Wu).
    Yang Jian seems to be affected by Wang Bi’s interpretation of Yijing. He gave some theoretical critique of Chengyi and Zhuxi’s interpretation of Yijing. And he accepted partially Wang Bi’s. In comparison with Wang Bi’s, we can find out three important feature of Yang Jian’s : First, he adopted the traditional theory of Quyi(取義) for making comments of Yijing and applied more consistently and thoroughly. Second, he admitted Wang Bi’s the Ultimate Reality and recreated it as the Moral mind(道心) based on the Book of History. Third, the proposition of his original idea, the Moral mind which none-substantiated, had strongly implications for the idea of Xin-xue.
    Yang Jian made an effort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Xin-xue, it was possible through transcending the influence of Chengyi and Zhuxi. Yang Jian interpreted Wang Bi’s commentary of the Yijing in his own way and it resulted a new view of Yijing which we might call the view of Xin-xue for Yij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