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0년대 노동시에 나타난 ‘가난’과 ‘사랑’의 의미 (The Meanings of ‘Poverty’ and ‘Love’ in 1980s Labor Poetr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5.02
20P 미리보기
1980년대 노동시에 나타난 ‘가난’과 ‘사랑’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人文科學硏究 / 51권 / 131 ~ 150페이지
    · 저자명 : 오윤정

    초록

    이 논문은 1980년대 노동시에 나타난 문학적 특징과 지향을 살핌으로써 1980년대 노동시에 관한 연구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는 ‘새로운 주체성’과 관련되며 ‘가난’과 ‘사랑’의 주제에 관한 것이다. 1980년대 노동시에서 ‘가난’은 노동자의 공통적인 조건이자, ‘소유’로 규정된 자본가와 그를 뒷받침하는 권력에 대한 대립항이다. 1980년대 노동시는 ‘가난’으로부터 공통적인 것을 발견하고 이를 극복하는 시 정신을 보여주고 있다.
    1980년대 노동시에 나타난 ‘사랑’은 가난을 극복하는 변화의 힘이며 자신을 능동적 주체로 변화시키는 본질이다. 무엇보다 ‘사랑’은 자신의 가치를 집단적으로 제고함으로써 노동자가 가진 힘을 증폭시키는 생성의 과정으로 나아간다. 그런 점에서 이들 시에 나타난 '사랑’은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동성과 새로운 주체성의 실천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1980년대 노동시는 ‘가난’과 '사랑'을 통해 자신의 고난을 극복하는 힘과 집단적인 주체로 나아가는 확장성을 갖게 된다.
    1980년대 시적 기획과 지향은 다소 변화되고 수정되었을지언정 그 힘은 여전히 유효하다. 새로운 주체의 발견, 대안적 세계를 구성하고자 하는 열망, 그리고 사회적 약자의 삶을 형상화하고자 하는 시적 지향이 지금에도 중요한 과제가 되기 때문이다. ‘가난’과 ‘사랑’에 주목한 이 연구는 1980년대 노동시가 고정적인 정체성, 혹은 이를 통한 배타적 분할의 원리를 파훼해 가는 과정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곧 ‘공통적인 것’을 생산하는 실천이자 새로운 주체를 생성하는 시작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ed to explore new thematic consciousness and orientations by examining the meanings of ‘poverty’ and ‘love’ in labor poetry of the 1980s. In the labor poetry of the 1980s, ‘poverty’ can be approached as ‘non-possession’ and the discovery of worker identity. The poetic speakers of labor poetry found their common situations and conditions within ‘poverty’.
    This goes beyond mere economic poverty to signify the exploitation and alienation of labor. However, through 'poverty', they discovered their commonality and moved towards 'worker identity' by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those who exploit them. In their poetry, 'possession' is another name for exploitation. It represents resistance based on the morality or purity achieved through non-possession. Additionally, it manifests as a power in the movement of oneself and the world.
    The ‘love’ depicted in the labor poetry of the 1980s is the force of change generated from this ‘poverty’, and the essence of transforming oneself into an active subject. By shifting focus from oneself or the individual to discovering ‘us’ within, and collectively enhancing one's value, ‘love’ is conceptualized as a force that amplifies our self-preservation power. The poetic speaker gains a flexible identity and expansiveness through ‘love’.
    Today's labor is markedly different from the situations and methods of the 1980s. The trend has shifted towards ‘immaterial labor’ that emphasizes information, knowledge, ideas, and the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s occurring within. However, the position of workers remains unchanged in terms of being social underdogs. They still find themselves in situations of ‘poverty’, and the ‘love’ pursuing the completeness of survival remains important even now. This will continue to be a relevant and significant discussion in the present, focusing on the values of ‘multiplicity’ and ‘solidarity’.This article aimed to explore new thematic consciousness and orientations by examining the meanings of ‘poverty’ and ‘love’ in labor poetry of the 1980s. In the labor poetry of the 1980s, ‘poverty’ can be approached as ‘non-possession’ and the discovery of worker identity. The poetic speakers of labor poetry found their common situations and conditions within ‘poverty’.
    This goes beyond mere economic poverty to signify the exploitation and alienation of labor. However, through 'poverty', they discovered their commonality and moved towards 'worker identity' by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those who exploit them. In their poetry, 'possession' is another name for exploitation. It represents resistance based on the morality or purity achieved through non-possession. Additionally, it manifests as a power in the movement of oneself and the world.
    The ‘love’ depicted in the labor poetry of the 1980s is the force of change generated from this ‘poverty’, and the essence of transforming oneself into an active subject. By shifting focus from oneself or the individual to discovering ‘us’ within, and collectively enhancing one's value, ‘love’ is conceptualized as a force that amplifies our self-preservation power. The poetic speaker gains a flexible identity and expansiveness through ‘love’.
    Today's labor is markedly different from the situations and methods of the 1980s. The trend has shifted towards ‘immaterial labor’ that emphasizes information, knowledge, ideas, and the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s occurring within. However, the position of workers remains unchanged in terms of being social underdogs. They still find themselves in situations of ‘poverty’, and the ‘love’ pursuing the completeness of survival remains important even now. This will continue to be a relevant and significant discussion in the present, focusing on the values of ‘multiplicity’ and ‘solida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人文科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