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보의 픽션, 박태원의 메타픽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구 (Fiction of Gubo or Metafiction of Park, Tae-w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7.12
25P 미리보기
구보의 픽션, 박태원의 메타픽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17호 / 265 ~ 289페이지
    · 저자명 : 노태훈

    초록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작가의 대표작이자 한국 문학사에서 모더니즘 문학의 본격적인 출발로 평가된다. 특히 소설가의 자의식이 직접적으로 드러나고, 이를 ‘구보’라는 작가의 가면 혹은 분신의 형태로 제시하면서 소설 창작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을 보여주는 거의 최초의 작품이라 볼 수 있다. 주지하듯 이 소설에 관해서는 꽤 다양한 연구가 있어 왔고, 특히 작가가 스스로 밝혔듯 “고현학(考現學, Modernology)”이라는 명명을 통해 자신의 창작 방법이 당대의 현실을 관찰하여 그것을 다시 언어로 기록하는 것임을 천명한 바 있다. 이러한 박태원 특유의 창작 방식은 그의 문학 전반을 규정하는 열쇠가 되기도 하고,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계보를 구성하는 토대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여전히 박태원 문학에서 더 해명되어야 할 것이 있다면 그것은 그의 소설이 가진 메타적 속성이다. 특히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메타픽션의 관점에서 재독할 필요가 있는데, 메타픽션은 단순히 소설가의 소설 쓰는 행위가 등장하는 이른바 ‘소설가 소설’과는 다르다. 소설이라는 장르가 갖는 속성, 즉 언어로 세계를 재현한다는 것의 (불)가능성을 근본적으로 탐색하는 것이 메타픽션의 핵심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는 소설을 철저히 인공적 ‘텍스트’로 여기면서 스스로의 서술 행위를 끊임없이 ‘재인식’하는 과정이 여실하게 드러나고 있다. 그것은 박태원이 기표와 기의로 흔히 설명되는 언어의 기호적 속성을 지각했기 때문이다. 박태원은 언어의 한계를 분명하게 인식하면서도 끝내 그 언어 속에서 소설을 구성해보려고 했던 최초의 메타픽션 작가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Park, Tae-won’s Soseolga Gubossiui Ilil (A Day of Novelist Gubo) is his representative work and often considered the genuine starting point of Korean literary modernism. Specifically, it is perhaps the first novel to display a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of the writing process, revealing the consciousness of the novelist in the form of Gubo, the author’s mask or alter-ego. There has been a wide array of research on this novel and the author’s own description of his methodology in the term “Modernology(考現學),” an approach seeking to observe the contemporary reality and record it again into language. Park, Tae-won’s unique writing process is not only the key to defining his literature as a whole, but also a basis for the construction of a genealogy of modernist Korean literature. However if anything is yet left to be elucidated about his work it is the meta- character of his novels. There is a particular need to reread Soseolga Gubossiui Ilil from the perspective of metafiction, but the term metafiction here means something more than just the ‘novelist‘s novel,’ a novel in which the author’s act of writing appears. An essential exploration of the character of the novel as a genre, of the (im)possibility of representing the world through language, is central to the meaning of metafiction. Soseolga Gubossiui Ilil exposes a process of thinking the novel as a thoroughly artificial ‘text’ while continuously ‘re-perceiving’ its narration. This is because Park, Tae-won perceived the semiotic character of language, frequently explained as the relation of signifier and signified. Park, Tae-won, who tried to construct the novel within language even as he perceived its limits, can be described as the first metafictional auth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