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百濟 始祖 仇台․沸流 傳承의 성립과 高句麗․公孫氏 관계 (The Establishment of the Legend of Kutae and Piryu, the Progenitors of Paekche, and the Relationship with Koguryŏ and the Gongsun Famil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6.08
30P 미리보기
百濟 始祖 仇台․沸流 傳承의 성립과 高句麗․公孫氏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55호 / 5 ~ 34페이지
    · 저자명 : 이장웅

    초록

    본고는 백제의 복잡한 건국전승을 통해 건국신화를 복원해보려는 입장에서 『三國史記』 百濟本紀에 나타난 백제 건국전승의 한 계통인 解夫婁-優台-沸流 전승과 中國史書에 나타난 仇台 전승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解夫婁의 庶孫으로 나타나고 있는 優台는 高句麗의 官階인 于台 및 중국사서의 仇台와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東扶餘의 분열과 고구려 초기의 정치적 변동 및 공손씨 정권과의 관련 속에서 解夫婁-優台(仇台)-沸流 집단의 백제 유입 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解夫婁-金蛙-帶素로 이어지던 동부여는 고구려 大武神王의 공격으로 帶素王이 죽음을 당하고 분열하게 된다. 그 가운데 대소의 막내 동생은 曷思國을 세우고, 대소의 사촌동생은 고구려 椽那部에 편입된다. 그리고 갈사국을 세운 曷思王의 손자 都頭는 太祖王 때에 고구려에 복속되어 于台에 임명된다. 于台는 那(那部) 내부 한 집단의 長을 의미하며, 이때 于台 都頭는 이전에 대소의 사촌동생이 연나부에 편입되었던 예와 마찬가지로 那(那部) 내에 편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백제 解夫婁-優台-沸流 전승에서 解夫婁의 庶孫으로 나타나고 있는 優台는 바로 해부루의 방계 혈통인 이들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의 백제 유입 과정은 중국사서에 나타나고 있는 仇台 전승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는데, 公孫度 정권 시기에 있었던 고구려의 왕위 계승 분쟁과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곧, 발기와 함께 한 涓奴加와 下戶 三萬餘口 세력이 고구려 왕실의 분열 속에서 帶方과 관련된 지역에 자리잡게 된 사실이 구태 전승으로 전해진 것이라고 보았다. 이들은 고구려의 沸流水 지역을 중심으로 한 전왕족 涓奴部 세력이었기에, 解夫婁의 庶孫 優台와 그 아들 沸流의 전승이 생겨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들 집단은 남하하여 대방과 관련된 지역인 임진강 유역에 자리잡고 있다가, 古爾王 때에 백제 왕위를 차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legend of Haepuru(解夫婁), Utae(優台) and Piryu(沸流) and the legend of Kutae(仇台) in the Chinese historical texts in order to rebuild Paekche(百濟)’s origin myth through the state’s complicated founding legends. As a result, it confirmed that Utae, who was illustrated as Haepuru’s grandchild of a concubine, was related to Utae(于台), one of the Koguryŏ’s government rankings, and Kutae in the Chinese histories. In accordance with this assumption, this paper demonstrated the process of the influx of Haepuru, Utae and Piryu’s groups into Paekche in relation to the disunity of East Puyŏ(東扶餘; Tongpuyŏ), political changes in the early period of Koguryŏ, and the power of the Gongsun Family.
    East Puyŏ, which the kings transcended from Haepuru and Kŭmwa(金蛙) to Taeso(帶素), was divided into pieces and King Taeso died during the invasion of Koguryŏ under the leadership of King Taemusin(大武神王). In this process, the youngest brother of Taeso established Kalsakuk(曷思國; Kalsa State), and Taeso’s cousin joined Koguryŏ’s Yŏnnapu(椽那部). Then the grandchild of King Kalsa, the founder of Kalsakuk, surrendered to Koguryŏ during the reign of King Taecho(太祖王); Totu(都頭), the grandchild of King Kalsa, was entitled Utae(于台) by Koguryŏ. Utae(于台) refers to a head of the group in Na(or Napu; 那 or 那部). It is likely that Totu was included in Na like Taeso’s counsin was previously admitted to Yŏnnapu. Thus, it is possible that Haepuru’s grandchild of concubine, Utae(優台), in the legend of Haepuru, Utae and Piryu indicates the descendents in Hapuru’s collateral line.
    The process of their influx into Paekche could be seen through the legend of Kutae in the Chinese historical texts, which is related to Koguryŏ’s dispute over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during the reign of the Gongsun Family.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Yŏnnoka(涓奴加) with Palgi(發岐) and his 30 thousands people settled in Taifang(帶方) area in the process of the disunity of Koguryŏ’s royal family was remembered as the legend of Kutae. The legend of Utae(優台) and his son, Piryu(沸流), could be born since they were Yŏnnopu, the former royal family resided at Piryusu(沸流水). This group possibly went to the south and settled in Imchin River, an area which was strongly connected to Taifang, until they took Paekche’s throne during the reign of King Koi(古爾王).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