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사족의 혼인과 이주 - 예안 광산김씨의 사례 - (Marriage and immigration of Sajok(士族), in Late Joseon Dynast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5.08
41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사족의 혼인과 이주 - 예안 광산김씨의 사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60호 / 277 ~ 317페이지
    · 저자명 : 김정운

    초록

    士族은 조선 시대의 특권계층으로,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존재하였으며, 16세기 이후에는 자신들이 주도하는 사회 질서를 만들었다. 사족이 특권 계층으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科擧에 합격하고 관직을 경험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혼인이다. 이것이 복합적으로 작용될 때 사족은 특권층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본고는 경상도 예안에 사는 광산김씨의 사례를 통해 사족의 혼인과 移住의 의미를 검토했다.
    15세기는 사족이 이주와 정착을 빈번하게 했다. 광산김씨의 경우에 김무가 안동에 이주한 이후 3대 동안 안동을 거쳐 예안으로 이주했다. 이 시기에 사족이 이주와 정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한 것은 상속과 그 지역 농업의 발전 가능성이었다. 김효로는 매우 다양한 곳에서 상속을 받았고, 가장 큰 비중은 예안에 있었다. 결국 김효로는 예안으로 이주하였는데, 이것은 상속과 농업의 발전 가능성이 함께 작용한 경우이다.
    가족 질서의 측면에서 보면 이 시기는 친가, 외가, 처가의 영향이 함께 작동했다. 그러면 혼인 한 후에 어디에 살 것인가? 사족은 상속받은 곳 가운데 가장 발전 가능성이 있는 곳을 선택하였다. 그러므로 이 시기 사족의 가족 질서는 친가와 처가, 외가 가운데 한 곳을 자유롭게 선택해서 이를 토대로 가족 운영이 이루어졌다.
    16세기는 정착한 시기이다. 김효로가 예안에 정착한 이후 그의 자손은 예안에 집중적으로 거주했는데, 효로의 2남 2녀 가운데 2남 1녀가 예안에 거주했다. 이 시기에는 入鄕祖라는 개념이 생겨났고, 그 후손이 함께 거주하면서 내부의 결속이 확립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상속은 여전히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김해와 김부필 등의 경우가 그러했다. 차이점은 이 시기 예안에서 태어나서 혼인한 광산김씨 남성은 혼인한 이후에 처가에서 상속은 받았지만 처가로 이주한 경우는 없었다.
    17세기 중반은 다시 이주가 있었다. 광산김씨가 예안에 정착한 이후 3대가 지난 시기이다. 대체로 김효로가 예안에 정착하고 120년 정도 시간이 지났으며, 그 사이에 자손의 수는 크게 늘어났는데, 이것은 족보에 기재된 인구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그동안에는 광산김씨의 남성은 혼인한 후에도 모두 예안에 거주했는데, 이제 더 이상 모든 광산김씨 남성이 예안에 거주할 수가 없었다. 문제는 어디로 갈 것인가. 이 때에도 역시 상속이 거주지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였고, 오히려 처가나 외가가 더욱 중요해졌다. 친가의 상속은 대체로 적장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갔으므로, 차남 이하는 배우자의 가계로부터 상속을 받을 수 있게 된다면, 그 의미가 더욱 컸다. 그러므로 이 시기는 혼인이 사족에게 더욱 중요하게 작용했다.
    18세기 이후 사족의 이주와 정착에서 혼인의 기능은 매우 중요했다. 이것은 사족이 이주해 간 지역이 공통적으로 외가와 처가였던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조선 후기 사족의 혼인과 이주를 볼 때, 혼인을 통해 형성된 부부의 관계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Sajok(士族) were a privileged class during the Joseon period. They were based in the local community and took the lead in social order which they made. To Sajok(士族), passing the state exam and working as a government officer were the most important events to establish theirselves as a privileged class. The next important event was marriage. This article examined the meaning of Sajok(士族)’ marriage and immigration by studying the case of Gwangsan Kim's family who lived in Yean, Kyong Sang. In the 15th century, Sajok(士族) frequently moved and settled down. In the case of Gwangsan Kim's family, KIMMOO firstly moved to Andong region and moved to Yean region during following three generations. At this time, inheritance and developmental potential of local agriculture took an important role to Sajok(士族) determining move and settlement. Eventually, KIMHYORO moved to Yean region and this is the case that inheritance and developmental potential of local agriculture took into effect together. In terms of family order, father’s side, mother’s side and wife’s side played a role together. Sajok(士族) chose the place where has the biggest developmental potentials among the source of inheritance. Therefore, Sajok(士族)’ family order worked as they freely choose from father’s, mother’s and wife’s side and that was how family management worked at this time. The 16th century was the time of settlement. After KIMHYORO settled in Yean, three children out of four, two sons and two daughters, lived in Yean. Inheritance still came through various channels, KIMHEA and KIMBUPILL’s case shows it. The difference was that there was no case of immigration when a Gwangsan Kim’s son who was born in Yean married another region’s woman no matter they inherited from wife’s side. After middle 17th century, immigration took place once again. In the mean time, the number of descendants was remarkably increased. Meanwhile, most of Gwangsan Kim's sons lived in Yean region after marriage, there was no more space for them. Then, where they should have chosen to move? Still, inheritan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Mainly, one’s paternal family’s inheritance was to the eldest son’s advantage so getting inheritance from wife’s side became more meaningful to other sons. By looking through the marriage and immigration of Sajok(士族), the late Joseon’s conjugal relations can be understood 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