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풍양 조씨 분암(墳庵)과 남양주 견성암의 불상 (Studies on the Buddhist Statues at Gyeonseongam Temple and Bun-am Temple Regarding the Poongyang Cho Clan of Namyangju)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1.11
37P 미리보기
풍양 조씨 분암(墳庵)과 남양주 견성암의 불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100호 / 167 ~ 203페이지
    · 저자명 : 유근자

    초록

    이 논문은 신라말 고려초 인물인 풍양조씨의 시조 조맹(趙孟, ?-?)의 수행처에 창건된 남양주 견성암의 약사전과 대웅전에 봉안된 불상에 관한 것이다. 견성암은 선조들의 묘를 관리하는 분암(墳庵) 성격을 갖고 있는데 현재까지도 풍양 조씨 분암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견성암 약사전에는 고려말 조선초에 제작된 석조약사불상이 봉안되어 있고, 대웅전에는 18세기 중후반에 조성된 석가 · 약사 · 아미타불상으로 구성된 목조삼불상이모셔져 있다. 약사전 존상은 시조 조맹의 설화와 관련되어 있고, 대웅전 존상은 18 세기 풍양 조씨 분암과 연관이 깊다. 또한 약사전은 난방이 가능한 대방의 구조로되어 있어 시조묘에 제향할 때 이곳에서 숙식을 하기도 하였으며, 현재까지도 견성암의 가장 중심 불전으로 기능하고 있다. 「견성암 중수 각부탱 신화성기」(⾒聖菴重修各部幀新畵成記, 1883년)에 의하면 목조삼불상의 개금(改⾦) 및 석조약사불상의 개채(改彩)가 1882년(고종 19년)에 이루어진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같은 해에 헌종의 후궁 경빈 김씨와 그녀의 동생인 김문현 부부의 시주에 의해 <아미타불회도>가 대웅전의 후불도로 조성되었다. 경빈 김씨는 풍양 조씨 가문에서 배출한 신정왕후 조씨의 며느리이며, 신정왕후와 돈독한관계를 유지하였기 때문에 풍양 조씨 대종중의 분암인 견성암에 시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약사전 석조약사불상은 조선시대에 서울 인근 왕실과 관련된 사찰에서 조성한 선정인의 약기인(藥器印) 도상과 달리, 통일신라 때 유행한 항마촉지인의 약기인 도상을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양식 특징은 고려말 조선초 불상에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고 있어 제작 시기는 고려말 조선초로 추정된다. 견성암 대웅전의 목조삼불상 가운데 목조약사불상은 최근에 새로 조성하였고, 목조석가· 아미타불상은 18세기 중후반 경에 제작된 것이다. 대웅전의 목조석가 · 아미타불상은 풍양 조씨의 종중 활동이 활발해지는 18세기에 조성되었으며, 18세기에활동한 조각승 상정(尙淨)이 만든 불상의 특징을 갖고 있어 상정 또는 그의 유파 조각승들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bout the Buddhist statues enshrined at the Yaksajeon Hall and Daeungjeon Hall of the Gyeonseongam Temple in Namyangju. This temple was built on the site used by Cho Maeng, the founder of the Poongyang Cho's clan, for training. Furthermore, Gyeonseongam Temple shares some of the character istics of Bun-am (墳庵), a temple where the management of ancestor tombs is carried out.
    The stone Medicine Buddha (Bhaiṣajya-guru) statue is enshrined in the Yaksajeon Hall of Gyeonseongam. It was made betwee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In Daeungjeon Hall, three wooden Buddha statues of the Shakyamuni, Bhaiṣajya-guru, and Amitabha Buddha are enshrined. Among them, the statues of Shakyamuni and Amitabha were created in the mid to late 18th century, the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聖菴重修各部幀新畵成記 (1883)," the three wooden Buddha statues were restored with gold and the stone Medicine Buddha statue was repainted in 1882 (19th year of King Gojong).
    Unlike the medicine bowl-mudrā (藥器印) in the posture of a dhyāna-mudrā, which was created in a temple related to the royal family near Seoul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tone medicine Buddha statue in Yaksajeon Hall inherits the iconography of a medicine bowl-mudrā (藥器印) in the posture of a bhūmisparśa mudrā, which was popular during the Unified Shilla period.
    Among the three wooden Buddha statues in Gyeonseongam’s Daeungjeon Hall, the wooden Medicine Buddha statue was created anew. The wooden Shakyamuni Buddha and Amitabha Buddha statues are estimated to have been made in the mid to late 18th century. The wooden Shakyamuni and Amitabha Buddha statues in the Daeungjeon Hall are presumed to be the works of Buddhist statues made by Sangjeong (尙淨), a monk and sculptor who was active during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