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海金氏璿源譜略』의 ‘伷'의 實體에 대하여 (With respect to identification of ‘chu' written in kimhaekimssiseonwonboryak)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4.12
58P 미리보기
『金海金氏璿源譜略』의 ‘伷'의 實體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49호 / 209 ~ 266페이지
    · 저자명 : 임범식

    초록

    본고의 목적은 한국의 正史 『三國史記』 초기기록과 일본의 正史 『日本書紀』 상대기록 간에 상호 간접적으로 내지 논리적으로 일치하는 기록이 있음을 金海金氏大宗譜인 『김해김씨선원보략』에 나타난 伷라는 인물을 통해 증명하는데 있다.
    『三國史記』 「新羅本紀」 上에는 首露王이 2세기 말인 199년에 薨하는 記事가 나오고, 『日本書紀』崇神, 垂仁 紀에는 蘇那曷叱智나 都奴我阿羅斯等, 혹은 于斯岐阿利叱智干岐라는 大加羅國 王子의 使行 記事가 보인다.
    이 두 기사의 상호관계는 표면적으로는 명확치 않지만, 우리 역사학계의 대선학이신 천관우 선생은, 『三國史記』 「신라본기」 199년조의 수로왕의 薨 사건 기록과 그 2년 뒤에 이어지는 금관국으로 여겨지는 가야의 신라에 대한 請和 사건 기록이, 무언가 가야 내부에 중요한 변동이 생긴 것을 의미하고, 『김해김씨선원보략』의 수로왕 七子의 ‘’厭世上界‘’ 라든가 거등의 왕자 伷의 ‘’乘雲離去‘’라는 기록 등과 대비하여, ‘2세기 말 3세기 초 무렵’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농경기마민들이 건너가던 추세로 미루어 볼 때에, 『삼국사기』의 두 기록은 구체적으로 금관국의 주축세력이 일본열도로 빠져 나간 사실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본고는 이 천관우 선생의 가설을 받아들여 연구해 본 결과, 다른 기록은 몰라도, 적어도 ‘2세기 말 3세기 초 무렵’ 일본열도로 빠져나간 거등의 왕자 伷는, 그 실체가, 『日本書紀』 崇神, 垂仁 紀에 보이는 蘇那曷叱智나 都奴我阿羅斯等, 혹은 于斯岐阿利叱智干岐 등과 동일 인물이라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었고,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伷와 『日本書紀』 上의 세 인물의 兩者는 2세기 말 3세기 초라는 동일 시기에 상호 존재하였다.
    둘째, 伷와 『日本書紀』 上의 세 인물의 兩者는 국적이 동일하게 금관국이었다.
    셋째, 伷와 『日本書紀』 上의 세 인물의 兩者는 그 이름의 의미가 모두 ‘’뿔 모양의 곳깔을 쓴 渠帥 혹은 貴人‘’으로서 동일하다.
    이상과 같은 본고의 연구결과는 고대 한일관계 연구에 있어 그동안 도외시되어 왔던 새로운 사료의 발굴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것이며, 아울러 『日本書紀』 上代記事에 대한 盲目的 不信을 再考케 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has aim for proving the fact that of early writings of japanese official history, ilbonseogi, a indirect or logical writing in accordence with early writing of korean official history, samguksagi, exists by medium of historical figure which is named for ‘chu’ written in kimharkimssiseon- wonboryak, the capital-genealogy of kimhae kim family line being situated for noted family line in korea.
    samguksagi sinlabongi say that geumguanguk’s king suro died in the year 199, the end of 2nd century and ilbonseogi sungshin, suin article say that ‘sonaka-shich or tsunuga-arashito or ushiki-arishichi-kanki’, as a prince of daegaraguk, having three different name and same character, envoy ambassador to japanese.
    there is superficially no obvious point about the above writings have some relation each other. but teacher cheonguanwu, our senior scholar of historical studies, noted that king suro’s death-accident-writing written in samguksagi sinlabongi’s the article of 199-year and a writing concerned reconcilation-request of kaya, being generally regarded as gumguanguk, for sinla, occurred two years later from that period(199), judging from making relation the drift emigrants sail across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the japanese islands in ancient times with the writings gumguanguk’s princes advance outward like the writing of king suro’s seven son “rise upward because of disliking this world” or the writing of prince chu(伷) of king gedeng “ride a cloud and move someplace” written in kimharkimssiseonwonboryak. imply the fact something important internal political change happened, more concretely speaking, the fact that gumgusnguk’s key role’s power get out for japanese islands toward the end of 2nd century or the beginning of third century. in kaya.
    the writter, at this paper, accept the above teacher cheonguanwu’s hypothesis, and through additional study, proved that chu(伷) written in kimharkimssiseonwonboryak is historically the same figure to sonaka-shichi or tsunuga-arashito or ushiki-arishichi-kanki written in ilbonseogi sungshin, suin, article, the logical basis is as follows.


    first, both sides coincidence with activing period.
    second, both sides coincidence with nationality and status as gumguankuk’s prince.
    third, both sides coincidence with name’s meaning.


    the writer wish the above research(e)’s result is helpful to stimulate interest for study concerned interrelationship history between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in ancient time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