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흥보씨>의 흥부전 변용 양상과 패러디의 의의 (Aspects and meanings of parody in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0.04
31P 미리보기
&lt;흥보씨&gt;의 흥부전 변용 양상과 패러디의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30권 / 239 ~ 269페이지
    · 저자명 : 신찬경

    초록

    본고는 채만식의 <흥보씨>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텍스트에 형상화된 세계의 특징을 분석하고, 도덕적 당위성과 의미가 중지됨으로써 발생하는 패러디의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흥보씨>에는 작가의식과 직결되는 가치의 대립이나 당위적 가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히고, 작가가 ‘어떤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느냐’ 혹은 ‘문제 제기에 성공했느냐’의 여부가 아닌 다른 지점으로부터 패러디의 의의를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흥보씨>의 제비박 화소의 활용과 아감벤이 말한 “새롭고 가능한 사용”으로서의 놀이를 환유적 관계로 해석하여 패러디로서의 <흥보씨>의 가치에 접근하였다.
    흥부전의 제비박 화소가 <흥보씨>의 제비삽화로 변용되는 과정에서, 제비가 땅에 떨어지는 사건이 계기가 되고, 선량한 마음씨가 동기가 되어, 제비를 다시 둥지 위로 올려준다는 행동의 형식은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나 사람의 손길이 닿으면 제 새끼라도 둥지 밖으로 밀어내버리는 제비의 습성이 새롭게 설정됨에 따라 그러한 형식이 ‘제비의 보은’으로 표상되던, ‘착한 사람은 복을 받는다’ 혹은 ‘선에 대한 권면’이라는 의미와 맺고 있던 관계는 해체되어 새로운 맥락에 위치한다. 특정한 행위나 존재는 기존의 서사적 기능으로부터 해방되고, 고전소설 흥부전을 통해 계승되던 도덕적 가치의 교훈적·정치적 효용은 중지된다. 즉, 고전서사의 문법에서는 원인(善)으로부터 결과(福)에 해당하는 의미가 도출되는 과정 자체가 규범화되어 ‘착한 사람은 마땅히 복을 받아야 한다’는 의미 질서가 고정되어 있었다면, <흥보씨>는 그러한 문법의 효용을 중지시키고 새로운 의미의 가능성을 획득한 작품이다.
    이에 <흥보씨>에서는 형식이 의미와 맺고 있던 관계가 해체됨에 따라 ‘~해야 한다’는 실천적 의미는 낯선 것으로 대상화되며, 고전의 교훈적이고 정치적인 의미 체계에 대한 비판적 거리가 발생한다. 이때 <흥보씨>는 다른 패러디 텍스트처럼 원본 텍스트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반전 또는 반대로 재확인시키거나 그에 대한 재성찰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전형적인 것이든 독자적인 것이든 기존 해석의 효용 자체를 무의미한 것으로 만듦으로써 원본 텍스트의 교훈성 및 정치성에 대한 비판적 거리를 발생시키는 데서 패러디의 의의를 흭득한다. 즉, <흥보씨>는 가치판단의 척도가 무화됨으로써 흥부전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텍스트로, 텍스트 해석이 고전에 대한 단순한 ‘다시 읽기’나 ‘새롭게 보기’가 아닌, 기존의 독자적이거나 전형적인 해석에 대한 ‘비판적 거리 유지’에 기반할 때 패러디 텍스트로서의 의의는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ing out the aspects of parody in <Heungbossi>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arody resulting from the suspension of its moral justification and meaning.
    There is no conflict of values or party value directly related to the author's consciousness in <Heungbossi>. Instead of eliminating economic conflicts in <Heungbu-jeon>, differences between ‘Mr. Hyun’ and ‘Mr. Kim’ is highlighted, but it does not imply another conflict that reflects the Japanese colonial era. Also, it is hard to say that there exists a social conflict in <Heungbossi>, given that the ‘Mr. Kim’ does not have representation as an offender who persecutes Koreans. ‘Mr. Hyun’ is also a person who, despite his negative aspects, is as human in his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nd animals. But his warm nature is not the value of being established through retribution, as in <Heungbu-jeon>. Heungbu's virtue was shaped by values that overwhelmed other negative aspects, such as economic incompetence. In <Heungbossi>, however, the valuation on the virtue of ‘Mr. Hyun’ is held back by the swallow plot. This led us to believe that we need to derive the significance of the parody from a point other than ‘what kind of problem did the author have’ or ‘Did he succeed in raising the question?’. To this end, we sought to approach the value of <Heungbossi> as a parody by interpreting the use of the swallow motif and what Agamben called “new and possible use” as a metaphorical relationship.
    The swallow in <Heungbossi> has the habit of pushing even its own offspring out of the nest when touched. Thus, the relationship that the previous ‘virtue of main character’ had with the connotation of swallow’s repay-‘good will be blessed’ or ‘encouragement to virtue’-is placed in a new context. In other words, if the process of deriving meaning from the causes(virtue) was in order and the meaning ‘good people deserve good fortune’ was fixed in the grammar of classical literature, <Heungbossi> was able to escape from the grammar and acquire the possibility of a new mea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parody can be found in that moral imperativeness of virtue has not been fulfilled, suggesting a new level of use beyond the practical meaning of ‘shou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