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기 수원 조씨가의 지주경영 분석 (The Analysis of the Landlord Management by the Suwon Jo Clan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3.05
50P 미리보기
일제시기 수원 조씨가의 지주경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46호 / 175 ~ 224페이지
    · 저자명 : 최원규

    초록

    이글은 조선후기이래 소론계 명문 양반가문이었던 수원조씨가의 일제시기 지주경영분석이다. 조씨가는한말이래 중앙관직에 진출하지 못하고 야목리에서 지주경영을 하며 칩거하며 지냈다. 조씨가는 전반적으로 일제에 순응하면서 지배체제에 흡수 편입되어 가는 경향을 보였다. 지주회, 농회 등 각종 관변단체에 가입했으며, 도로건설사업이 있을 때마다 토지를 제공하면서 체제에 순응해 갔다.
    조씨가의 토지는 수원 포천 온양에 있었다. 지주가 경영에 개입하지 않는 구래의 마름제 방식으로 지주경영을 했다. 1930년대 후반 우량품종과 비료 지급 등으로 소작인의 농업경영에 관여하기도 했지만 기업가적 경영형태는 아니었다. 마름을 제외한 소작농의 경작규모는 대단히 영세했다. 조씨가의 토지지목의 특징은 전과 대지의 비중이 높다는 점이었다. 자급자족적 농가경제체제에 맞는 토지구성이었다. 지대는 논은 타조제, 밭은 도조제였다. 수확물은 이른 봄 인천의 미곡상에 위탁 판매했다. 금융활동은 장리제도를 유지하면서 근대적 금융기관과의 거래도 했다. 그리고 조씨가는 세금납부와 관련하여 우편국의 활용도도 높았다.
    일제는 통치자금 마련을 위해 각종 세금을 마련하고 세를 부과했다. 지세부담이 가장 컸으며 갈수록 부담이 증가했다. 지세는 1914년 지가의 13/1000이었다가 1918년에는 17/1000로 인상했다. 소득세제를 도입하면서 15/1000로 낮추다가 전시체제기에 다시 17/1000로 상향했다. 1943년에는 임대가격에 근거하여 지세를 부과했다. 일제의 세제개편은 지주 부담의 증가로 나타났다. 1930년대 후반이후 경제변동도 양반 지주를 견디기 어렵게 만들었다. 이때 조씨가는 송나리의 답과 온양의 땅 일부를 방매했다. 조씨가는 지주경영이 농지개혁으로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자본으로의 전환시도는 하지 않았다. 남은 것은 위토와 임야 뿐 이었다. 몰락한 양반지주의 전형적 모습이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landlord management by the Suweon Jo clan, a noble yangban family of the soron party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 Jo clan lived a secluded life in Yamokri, not entering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since the end of Great Han Empire. Generally the Jo clan tended to absorbed and incorporated into the ruling system, conforming to Japanese rule. It joined the various organizations that supported the government, including Agricultural Society and Landlord Society, and offered the land in the road construction projects.
    The land of the Jo clan, a great landlord was in Suweon, Pocheon, Onyang, etc. It ran a landlord management on the basis of mareum system. It was not the form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though involved in farming of tenants through the payment of superior varieties and fertilizer in the late 1930s. The scale of cultivation of tenants except mareum was very small. The proportion of field in owned land was higher. It was land structure appropriate to a self-sufficient farmhouse management system. Rice field was tenanted on half-and-half shares, and dry field on a flat sum system. Harvest was sold on commission by rice dealers in Incheon in early spring. The system of an annual interest of fifty percent wa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modern financial institutions in terms of financial activities. The Jo clan took active advantage of post office with relation to the payment of tax and landlord management.
    Japanese imperialism established various tax systems and imposed a heavy tax. The portion of land tax was largest and the burden was increasing. Land tax constituted 13/1000 of the land price in 1914 while it was raised to 17/1000 in 1918. With the introduction of income tax system it was reduced to 15/1000, but was raised to 17/1000 in wartime system period. Land tax was imposed on the basis of rental value in 1943. The nature of the land tax reform was the increase in the burden of landlords. The reform made it difficult for yangban landlords to endure, along with economic fluctuation since the late 1930s. Then the Jo clan sold the rice field in Songnari and a portion of the land in Onyang. The Jo clan had never attempted to convert capital into the industrial capital. The only thing left was only wito and forest. It was the typical appearance of ruined yangban landlo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