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도 경주최씨 경산공파의 성장과 종족활동 (The Lineage Activities of the Gyeongsangong Branch in Cheongdo)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9.12
46P 미리보기
청도 경주최씨 경산공파의 성장과 종족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연구 / 37호 / 289 ~ 334페이지
    · 저자명 : 김인호

    초록

    경상도 청도의 경주최씨 경산공파(耕山公派)는 경산 최여준(崔汝俊)을 입향조로 삼은 가문으로 관가정공파(觀稼亭公派)의 한 지파이다. 최여준이 청도로 이거하게 된 이유는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참여하였고, 처인 아산장씨가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청도군 각남면 일곡마을에 정착한다. 최여준의 후손 중 관직에 임명되는 인물이 없으며 가세가 약화된다. 하지만 최학승이 1851년 문과에 급제하면서 변화가 발생한다. 그의 급제는 향촌 사회에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관직도 당상관에 임명된다. 최학승의 행적에 의해 경산공파의 교유관계도 확대되었다. 고향으로 돌아온 최학승은 자신의 가문이 지내는 지역을 성역화(聖域化)하였다. 또한 재사(齋舍)인 사성재(思成齋)을 건립한다. 1940-1950년 이후 경산공파의 조상추숭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경주최씨대동보』를 살펴보면 1920년대에는 최여준의 가계가 추가되고 1980년대에는 최학승의 가계가 등장한다. 최학승의 문집 『화강일고(華岡逸稿)』도 1953년 증손인 최항묵(崔恒黙)의 주도로 간행되었다. 최항묵은 일제강점기의 관료로 친일반민족행위자에 포함되었는데 당시 향촌사회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었다.

    영어초록

    The Gyeongsangong branch in Cheongdo, Gyeongsang province is a subbranch of the Gwangajeonggong branch of the Gyeongju Choi clan. The Gyeongsangong branch has Choi Yeo-jun, courtesy name Gyeongsan, as the first ancestor of the branch (ipyangjo). Choi Yeo-jun, the 8th descendent of the Gwangajeonggong branch, settled down in Cheongdo. One of the reasons Choi Yeo-jun joined a righteous army i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other reason of his wife Asan Chang lived in Cheongdo. As time went by, however, none of Choi Yeo-jun’s descendents could be nominated for a government post, and their relations with local nobles deteriorated. This led to the decline of the family’s power and influence. Choi Hak-seung passed the national civil service examination, mungwa, in 1851. His success was a turning point for the family and caused a great sensation in his community, and Choi Hak-seung served in various high-ranking government posts. Choi Hak-seung’s lineage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ly, he sanctified the area where his family lived. he constructed his clan’s jaesa buildings, Saseongjae. Choi Yeo-jun’s family tree was added to the Gyeongju Choi clan’s geneaology book (daedongbo) in the 1920s, and Choi Hak-seung’s family tree appeared in the genealogy in the 1980s. A collection of Choi Hak-seung’s literary works, Hwagangilgo, was published in 1953 primarily by his great-grandchild Choi Hang-muk. Choi Hang-muk is now included on the list of pro-Japanese collaborators. To summarize, this study shows the growth of a family in Cheongdo, Gyeongsang province: the Gyeongsangong bran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