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에 나타난 분열과 통합의 심리과정: 소설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기이한 사례 와 비교하여 (The Split and the Integration in the Film Dr Jekill and Mr Hyde as Compared with the Novel The Strange Case of Dr Jekill and Mr Hyd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1.10
28P 미리보기
영화 &lt;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gt;에 나타난 분열과 통합의 심리과정: 소설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기이한 사례 와 비교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7권 / 3호 / 97 ~ 124페이지
    · 저자명 : 오정민

    초록

    각각 분리된 개체로서의 지킬과 하이드씨가 구현하는 선악 개념의 근원을 본 연구에서와같이 인생 최초의 생존본능과 얽혀 형성되는 심리과정인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의 분열에서비롯됨을 지적한 선행연구는 놀랍게도 국내외를 통틀어 전무하다. 프로이트가 처음 도입한 분열이란 심리과정은 멜라니 클라인에 이르러 통합의 과정으로까지 발전한다. 그리하여 우리는지킬박사와 하이드씨의 대립이 그러한 분열뿐만 아니라 나아가 이상화와 극단적 악의 분열로까지 갈 수 있음을 밝히고 그 분열 성향은 임상과정 뿐만 아니라 소위 정상인에게서도 자주관찰될 수 있는 모습임을 거론하였다. 예컨대 ‘나의 정체성’을 한 가지 면으로 정의하려는 성향이 그것으로서, 여러 면을 동시에 인정하지 않는 한 그것은 분리된 한쪽 면만을 나의 특성이라고 잘못 생각하는 일에 해당한다. 그러한 일상에서의 사고방식의 편향성을 지킬박사와 하이드씨의 이야기는 그 극단적 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히 지적해 주고 있는 셈이다. 그것이 바로 우리가 지킬박사와 하이드씨의 이야기를 멜라니 클라인의 분열과 통합을 축으로 분석하는의의이기도 하다. 또한 인간 내면의 분열 상황을 확인하고 정의하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인의 실제 임상사례에서 증명되는 통합의 요건이 어떠한 방식으로 결여되어 있는지를지적한 후 분열이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라는 소설과 영화에서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형상화되어 있는지를 짚어내는 일 역시 본 연구의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즉 소설에서 보이는 분열양상이나 통합의 부재가 단지 지킬의 토로에서 추론되는 언어적 표현에 국한되어 있음에 반하여 영화에서는 하이드의 직접적 언행과 (소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여인의 존재에 의하여 욕망과 분열 사이의 관계가 더욱 구체적으로 조명되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소설에서의 내적 초점화는 영화에서의 대사와 반주관적 쇼트의 사용으로써 효과적으로 표현되어 있기도 한다. 그것은 언어표현 보다는 시청각이라는 직접적 감각을 통한 매체를 활용하여 구현하는 방법에 해당한다. 그리고 통합의 요소가 결여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밝히는 것은 바로지킬박사와 하이드씨 이야기의 지대한 가치를 드러내는 일이 된다. 그렇게, 분열이라는 현상을단지 확인만 하는 선행연구의 한계에서 벗어나 한 단계 나아가는 것이 우리의 작업의 본질이자 결실이라고 볼 수 있겠다. 더욱이 선행연구에서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에 대한 접근방식은 초자아와 이드 혹은 상징계의 요구와 실재계의 욕망 사이의 분열임에 반해 우리의 연구에서는 그것이 자아 안의 사랑과 파괴적 욕동 사이의 분열임을 밝히고 있다. 아울러 분열이란정신현상을 천착함에 있어 자아분열과 대상 분열에 대한 샤르티에의 정의의 오류를 외부투사의 기제를 들어 지적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Dr Jekill and Mr Hyde represented as separated entity of good and evil are originated from good object and bad object pointed by Mélanie Klein as a psychological element regarding to the survival instinct. This fact concerns our study which is not yet explored by any previous study so far. That split can become even the split between idealization and extreme evilness, which can be observed not only at the clinical process but also in the so called normal cases. For instance, we have an inclination to define our identity with only one or few aspects believing that such is our real identity. But that is not exact in view of facts because it results from thus grasping only the parts of our being. This concerns also the psychological split which the fiction of Dr Jekill and Mr Hyde elucidates more clearly about the partial structure of our mind by their accentuated aspects.
    And that is why we analyse the novel of Stevenson by Klein’s notion of split and integration.
    Thus, our study even determines the way how the conditions of integration are deficient by lightening the different way of configuration of the novel and the film, which is the final aim of our study. The Dr Jekill’s split and absence of integration in the novel are confined to verbal expression whereas they are embodied by the performance of the role of Dr Jekill and the presence of the lady, which is more effective to visualize the relation between desire and split. Futhermore, in regard to the description of the mental of Jekill, the internal focalization in the novel is converted to the particular form of the film language, which corresponds to the use of mi-subject shot. After all, not only defining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split but also inquiring into the phases of integration, this methode form the essential part as well as the fruit of our work. And we also indicated, in using the notion of the project, how the definition of Chartier about the split of subject and the split of object is wr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