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들뢰즈의 『씨네마』에서 운동-이미지의 성립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ovement-Image in Deleuzeʼ Cinema)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4.09
27P 미리보기
들뢰즈의 『씨네마』에서 운동-이미지의 성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시대와 철학 / 25권 / 3호 / 131 ~ 157페이지
    · 저자명 : 이철민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들뢰즈의 운동-이미지가 『씨네마』에서 어떻게 성립되는가를 설명하는 것이다. 운동-이미지는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과 초기 영화사 사이에서 배태된 개념으로, 본 논문은 운동-이미지의 의미와 위상을 먼저 규정한 뒤, 그 성립 과정을 해명한다. 우선 운동-이미지는 단순히움직이는 이미지가 아니라 운동의 운동성(mobilité)을 표현하는 이미지이다. 운동성은 베르그손이 운동의 본성을 운동하는 동체의 형상(forme)이 아니라 지속하는 운동 자체로 사유할 때 성립하는 개념으로, 『씨네마』에서 이동카메라가 동체를 촬영할 때 화면 자체 속으로 운동이 함입하는 순간, 즉이미지와 운동이 연결부호 ‘-’를 통해 내적으로 접촉하는 순간 표현되고 몽따주를 통해 변주된다. 들뢰즈는 쁠랑(plan) 개념으로 운동-이미지를 규정하면서, 몽따주와 프레임 사이를 오르내리며, 지속하는 영화 전체와 부분적인피사체들을 상호 전환시키는 숏(shot)의 위상을 설명한다. 쁠랑은 숏과 평면의 의미를 함께 갖는 들뢰즈의 철학용어로, 평면이 초월성을 배제한 전체적 평면, 즉 내재성의 평면(plan d’immanence)을 이루듯, 숏은 베르그손의 질적 복수성(multiplicité qualitative)과 같은 통일성, 즉 선율 한 소절이 수적으로 구분되지 않으면서도 다른 소절들과 내적으로 상호 침투하여 이루어지는 음악처럼 통일성을 형성한다.
    그렇다면 운동-이미지는 지속하는 전체의 동적인(mobile) 절단으로 성립한다. 문제는 베르그손이 『창조적 진화』 4장에서 영화를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물질과 기억』 1장에 기초한 들뢰즈의 영화철학이 어떻게 성립할 수있는가, 하는 점이다. 베르그손은 부동적(immobile) 사진들, 즉 일련의 프레임을 재빨리 움직이게 하여 거짓 운동을 생산해낸다는 이유로 영화를 비판한다. 하지만 베르그손이 비판하는 영화는 아직 몽따주 관념이 없는 초창기 영화의 숏들로, 들뢰즈가 본격적인 영화의 이미지로 제시하는 운동-이미지와 본질적으로 다르다. 들뢰즈는 『물질과 기억』 1장에서 베르그손이 제시하는 이미지가 숏에 상응하는 동적인 절단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운동-이미지 개념을 성립시킨다. 『물질과 기억』 1장의 이미지는 주관과 객관이 분리되기 이전에 존재하는 이미지로, 『씨네마1』4장에서 ‘이미지=운동=물질’공식으로 요약되는 내재성의 평면이다. 내재성의 평면은 『물질과 기억』 1장에서 사진, 즉 부동적 절단으로 해석되지만, 지속하는 과거의 기억이 논의되는 2, 3장을 함께 고려할 경우 동적인 절단으로 평가된다. 들뢰즈는 내재성의 평면이 갖는 양의성 중 후자를 강조하면서 운동-이미지를 지속하는 전체의 동적인 절단으로 성립시킨다. 『베르그손주의』에서 들뢰즈는 베르그손이미적분을 비판했을 뿐만 아니라 그에 상응하는 철학적 미적분을 질적인 차원에서 사유했다고 강조한 바 있는데, 이러한 강조는 프레임과 몽따주 사이의 숏으로 운동-이미지의 위상을 규정했던 쁠랑 개념의 전제로서, 들뢰즈가내재성의 평면을 동적인 절단으로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howDeleuzeʼ movemenr-image is established in Cinema. As themovement-image is concept that is born between bergsonʼMatter and Memory and early film history, this paper beginsby defining the meaning and status of the movement-image,then go on to how to be established the movement-image.
    First, the movemenr-image is not just a moving image butthe image to express the mobility of movement. As themobility is the concept that is established when Bergsonthinks the nature of movement not as the form of the movingbut as the movement in itself, it is expressed the momentthe movement intervened into the screen when mobilecamera takes the moving, that is the moment the image isinternally contacting the movement by the hyphen ‘-’, andvaries through montage in Cinema. As Deleuze defines themovement-image with the French concept of plan, heexplains status of shot that interconverts the whole movieand partial objects which keep going up and down betweenmotage and frame. As the French plan is Deleuzeʼ term thatinvolves both has shot and plane, shot composes unity likeBergsonʼ qualitative multiplicity as if a melody composes music by interpenetrating another instead of breaking into anumber of notes as plane composes total plane withouttranscendence, that is the plane of immanence.
    So then the movement-image is established as themobile cut of the enduring whole. The problem is howDeleuzeʼ philosophy of cinema that is based on the chapter 1of Matter and Meomory is establid although Bergsoncriticizes a film in the chapter 4 of Creative Evolution.
    Bergson criticizes the film because it produces the falsemovement by making immobile photographs, that is a seriesof frames to move fast. As the film that Bergson criticizes isthe shot of early film without the idea of montage, it differsessentially with the movement-image that Deleuze presentsas the image of cinema. Deleuze establishes the concept ofmovement-image emphasizing the point that the image thatBergson presents in the chapter 1 of Matter and Meomory isthe mobile cut that corresponds with the shot. As the imageof the chapter 1 is the one coming before a subject separatesfrom an object, it is the plane of immanence that issummarized in the formula of image=movement=matter inthe chapter 4 of Cinema1. Though the plane of immanence isinterpreted as the photograph, that is the immobile cut in thechapter 1, it is evaluated as the mobile cut in the case ofconsidering both the chapter 2 and 3 that discuss theenduring memory of past. Deleuze establishes as the mobilecut of the enduring whole while emphasizing the latter in theambiguity of the plane of immanence. In Bergsonism Deleuze has emphasized the point that Bergson not only criticize adifferential and intergral calculus but also think thephilosophical differential and intergral calculus thatcorresponds with it in the qualitative dimension, and thisaccent is the reason why Deleuze can evaluate the plane ofimmanence as the mobile cut, as it is premise of the Frenchconcept of plan that defines the status of the movementimageas shot between frame and mont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