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승자의 초기 시에 나타난 불안 양상 (The Aspects of Anxiety Presented in Seungja Choi's Early Poetry)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3.09
50P 미리보기
최승자의 초기 시에 나타난 불안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92호 / 169 ~ 218페이지
    · 저자명 : 이영희

    초록

    이 논문은 최승자의 초기 시에 나타난 불안의 양상을 고찰하여 그의 시를 새롭게 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간 최승자의 초기 시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척됐는데, 그에 대한 논의가 대체로 ‘부정성’에 집중됐다는 점에 문제를 제기하고, 그의 시의 특징적인 현상인 감정 정황과 그것을 작동시키는 본유감정을 규명하여, 그의 시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 논의에 우선하여 최승자의 시를 지배하는 주된 감정은 불안이며, 이것은 ‘사회적 구성물’이라고 전제하는 것이 본 글의 문제설정이다. 그의 시에서 감정으로의 불안은 외부 세계의 구조와 그 구조가 가하는 폭압성이 끼친 영향으로 인해 내면현실감정으로 구성되고, 그것이 시적 자아에 의해 표출된 기분이다. 본 글은 특히 최승자의 시에서 불안은 부정적인 성질에 잠식되지 않고, 그것을 오히려 창의적 시 쓰기의 심리현상으로 활용하여, 시대의 폭압성과 그 진위를 드러내는 방법적 시학으로 삼았다는 점에 관심하였다. 그가 한 시에서 “70년대는 공포였고/80년대는 치욕이었다.”고 표현한 정황과 한 산문에서 “80년대는 본질적으로 70년대의 연장선상에 있다.”라고 고백한 점을 참고하여, 외부 세계의 여건이 내부감정형성의 사정이 된 정황을 추적하였다.
    최승자의 시에서 불안은 이모티브에 의해 생성되고 구축되고 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현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의 시적 서사에서 주체의 나약하고 부적응적인 모습은 시대의 모순을 드러내는 불안의 형편이며, 격앙된 목소리는 시대의 위협 수위를 드러내는 불안의 배경을 가리킨다. 이런 맥락에서 최승자의 시에 나타난 불안은 시 쓰기 양식의 한 방편이면서 방법적 시학으로의 방법적 불안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그에게 불안은 1980년대의 지배질서와 억압구조가 가하는 폭압성에 맞서는 시적 질료로써 활용되고 반사되고 응결되고 확산되면서 증폭되고 강화되는 등 다종양상으로 쓰임을 받는다. 그 쓰임을 세 가지 양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인간의 탄생과 죽음을 관장하는 자연의 질서가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세계를 목격하면서, 이 폭압의 세계를 무화시키려는 시적 고민을 인간 고유의 정체성을 거부하는 모습을 통해 보여준 점. 다음은 사회가 발전하면서 가속화되는 산업의 시간이 인간의 삶의 의미를 상실케 하는 강제의 세계를 목격하면서, 물질 중심 사회의 무가치성을 드러내려는 시적 고민을 시간을 사물화 시키는 모습을 통해 보여준 점. 마지막으로 경험과 체험과 기억을 누증한 장소인 여성의 몸이 기능화·도구화되는 폭압의 세계를 목격하면서, 인간으로의 여성의 고유성을 재정비하고자 하는 시적 고민을 장소로의 여성의 몸을 리셋하는 모습을 통해 보여준 점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불안 양상은 시대의 폭압성에 의해 박탈된 존재적 의미와 실존의 가치 회복을 위한 방법적 시학을 기축으로, 시대에 대한 심층적 각성에 값하고자한 감정의 시적 수행과 다름이 없다. 이 수행이 창의적 시 쓰기를 촉진시키는 불안의 이모티브이며, 이 자극은 궁극적으로 불안의 심리현상을 통해서 자유에 이르고자 하는 긍정의 가치로 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적 주체에게 불안은 ‘지시하는 것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내적 필연성의 표출이며 시대적 정황인 까닭이다. 그런고로 그의 시에서 불안은 세계의 실체를 가시화하는 방법적 시학이며 실존의 고유한 개별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자유로의 기제라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글은 최승자의 시에 나타난 불안 양상을 고찰하면서 시에서 불안은 인간으로의 존재적 가치를 회복하여 자유로의 지향을 수행하려는 방법적 시학이며, 존재에 대한 가치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삶의 진실에 접근하려는 실천시학의 한 모습이라는 해석을 새롭게 도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make a new interpretation of Seungja Choi's poetry through studying the aspects of anxiety presented in her early poetry. Though the discussion on the poet's early poetry has been considerably progressed, the studies on her poetry have been largely focused on its 'negativity.' So I would like to propose a new understanding on poetry, paying attention to her characteristic emotional phenomenon of her own, and investigating her innate emotions working on her early poetry. The primary emotion controlling Choi's poetry is anxiety, and this research sets up the premise that her poetry is the 'edifice of society.' Anxiety as an emotion is a feeling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inner reality composed by the structure of outer world and the oppression of the age. Anxiety in Choi's poetry is not immersed in the negative nature it creates. Moreover, anxiety has been applied as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creative poetry writing and become the methodological means to reveal the oppressive appearance of the age. Referring to the circumstance, "the 1970s was terror and the 1980s was disgrace" in one of her poetry and her confession in her prose, “the 1980s in nature was in the extensive line to the 1970s," the study traces the situation that external conditions get to form internal emotions of the poet.
    It can be said that the anxiety in Choi's poetry is created and set up by emotives and gets phenomenal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Weak and non-adaptable aspects of the subject in her poetic narratives may be the ways of anxiety revealing the ways of the age, and the poet's angry voices indicate the setting of anxiety which reveals the levels of threats of the age. In this context the anxiety presented in her poetry is understood as the methodological poetics and anxiety in the manner of poetry writing. The poet's anxiety shows diverse aspects which are applied, reflected, congealed, proliferated, and strengthened as poetic ingredients which confront the control order and oppression structure of the 1980s. These stages are verified to be presented in the way that poetic subject rejects the identity in the world of repression that the order of nature of human birth and death is artificially redefined, and in the way that poetic subject preempts the time in the world that the function of the accelerated time of life becomes a black hole and useless, and in the way that poetic subject resets the place in the world of repression that female body as the place to accumulate experience and memory loses the meaning of real existence, being functionalized and instrumented. These aspects, based upon the methodological poetics for existential meaning and the value recovery of beings deprived by the oppression of the age, may be the emotional performance which reflects deep awareness of the age. This performance is creative poetry writing and the positive desire leading to freedom through anxiety. The inner anxiety for poetic subject is the circumstance of the age expressed by inner necessity 'influenced by directing power.' Therefore, the anxiety in her poetry is the methodological poetics which visualizes the truth of the world, and the freedom is what to be ultimately directed through emotives of anxiety. As such, in the research, while studying the aspects of anxiety presesnted in Seungja Choi's poetry, I have cast a new perspective, making it sure that the anxiety in her poetry is methodological poetics to be directed to freedom for the existential values as a human being. The anxiety extends the horizon on awareness of value on beings, and it is a way of practical poetics to get closer to truth of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