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출신 滿洲旗人 韓氏・金氏 일족 묘비문과 정착 특징 (Analysis on Tombstone of Han(韓)・Kim(金) families who are from Eight Banners Division(Baqi八旗) of Manchu(滿洲) and stemmed from Joseon(朝鮮))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1.06
39P 미리보기
조선출신 滿洲旗人 韓氏・金氏 일족 묘비문과 정착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132호 / 69 ~ 107페이지
    · 저자명 : 박현규

    초록

    본 논문은 청나라 滿洲旗人으로 편성된 조선출신 가운데 두각을 낸 韓氏 일족과 金氏 일족이 남긴 묘비문을 분석한 것이다.
    오늘날 한씨 일족과 김씨 일족의 「韓雲墓碑」, 「韓傑音墓碑」, 「金德雲誥命碑」, 「金新達禮神道碑」, 「金花住神道碑」 등 5통이 원탁본 또는 문헌 기록으로 전해오고 있다. 이들 묘비문에 나타난 두 일족의 모습을 보면 모두 새로 정착한 청나라에 대해 전력을 다해 충성하고 있지만, 두 일족 사이에 모국 조선을 바라보는 시각은 판이하다.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탈주한 한씨 일족은 묘비문에 조선 왕권을 찬탈 모의했다는 말을 새길 정도로 모국 조선에 대해 반목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정묘호란 때 피로되어 끌려간 김씨 일족은 선대의 뿌리가 조선에 있다는 사실을 밝히면서 모국 조선과 연계하고자 하는 심리를 보여주었다. 청 조정 고관에 오른 金常明은 조선 조정의 협조를 받으며 고향 의주에 묻힌 선대 묘소에 誥命碑를 세웠다.
    한편 조선에서 한씨 일족과 김씨 일족을 바라보는 시각도 자못 차이가 있다. 조선에서는 국왕 찬탈에 나선 한씨 일족을 반역자로 단정하고 있으나, 모국 조선과 연계해서 활동하는 김씨 일족에 대해서는 미묘한 시각을 보인다. 한편으로 김씨 일족의 도움을 받아 청나라와의 외교 현안을 풀어나가야 했고, 다른 한편으로 이들이 춘추대의에 어긋난 청나라 귀부자라며 긍정과 부정 평가를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tombstones of Han and Kim(Jin) families, who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he people who came from Joseon and belonged to the eight banners of Manchu in the Qing Dynasty.
    The tombstones, which were built by Han and Kim families such as 「Han Yun Tombstone(韓雲墓碑)」, 「Han Jieyin Tombstone(韓傑音墓碑)」, 「Kim Deokun Tombstone(金德雲誥命碑)」, 「Kim(Jin) Xindali Tombstone(金新達禮神道碑)」, and 「Kim(Jin) Huazhu Tombstone(金花住神道碑)」, have been handed down until recent days as the original copy of the rubbing or the records in literature. According to the records on Han and Kim families reflected in their tombstones, although two families all devoted their allegiance to the newly settled Qing Dynasty, the viewpoint of two families to Joseon as their mother country assumed different aspects.
    The Han family defected from Joseon due to the involvement of Yi Kwal(李适)'s revolt and had such a sense of antagonism against the mother country, Joseon, enough to engrave the words on the tombstones that they conspired to usurp the throne of Joseon. The members of Han family were mainly acting as soldiers and won in various battles. On the other hand, the tombstones of the Kim family, who were taken as prisoners during the first invasion of Joseon(丁卯胡亂), exhibited that their roots were in Joseon while showing the intention to maintain a link with their mother country, Joseon.
    Kim Changming(金常明), who took a high-ranking position in the royal court of Qing Dynasty, established a tombstone (誥命碑) at the grave in his hometown, Uiju (義州), where his ancestors were buried with the cooperation from the royal court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