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천택 편 [청구영언] ‘무명씨(無名氏)’ 작품 배열의 내적 체계 – [청구영언] 무명씨, 주제별 분류인가? – (The Internal System of Arrangement of Works of Cheongguyoungeon by Kim Chun-Taek Collection - Cheongguyoungeon Anonymous, Subject Classification?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7.12
27P 미리보기
김천택 편 [청구영언] ‘무명씨(無名氏)’ 작품 배열의 내적 체계 – [청구영언] 무명씨, 주제별 분류인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75호 / 101 ~ 127페이지
    · 저자명 : 강경호

    초록

    이 글은 김천택 편 『청구영언』에 수록된 무명씨 작품들의 배열 방식과 그 내적 체계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간 『청구영언』 무명씨는 주제⋅내용별분류에 의해 작품이 배분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학계 통설이었다. 그러나 『청구영언』 자체가 당대 가곡 연창의 실질을 담고 있는 ‘가집’이라는 점과 가객 김천택의 적극적인 관여에 의해 편찬되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어떠한 방식으로든그 음악적 색채가 짙게 반영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양상을 무명씨작품들에서 확인하고 그 내적 원리와 체계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 것이 이 글의 의도이다.
    검토한 결과 『청구영언』 무명씨는 어휘, 소재, 이미지, 내용, 주제 등 다양한연상 원리에 의해 작품이 배열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상 작용에 의한 작품 배열은 일반적으로 19세기 중후반 가곡원류계 가집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논의를 통해 이 같은 원리의 시작이 18세기 초반 『청구영언』에서부터 이루어졌음을 알게 되었다.
    『청구영언』의 무명씨 작품들은 19세기 가집들처럼 공통 어휘나 관습구가 계속적으로 반복되며 길게 이어지는 양상을 띠지는 않는다. 그러나 다양한 방식으로 환기되는 이미지들이 복합적인 연상 작용을 거치면서 나타난다는 점에서 이후 가집들과의 변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작품 배열의 연상 원리는 이후18세기 중후반 가집들에서도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러한작품 배열의 내적 질서가 축적되면서 19세기 초반 가집들에까지 전승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rrangement and the internal system of the anonymous works in Cheongguyoungeon by Kim Chun-Taek Collection. Until now, it has been common practice to see that the works are distributed by the classification of themes and content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song itself is a collection of songs of the contemporary, it is considered to have been compiled with the active involvement of singer Kim Chun-taek. It is the intent of this article to identify these aspects in anonymous works and to re-illuminate their internal principles and systems.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ks were arranged according to various association principles such as vocabulary, material, image, contents and subject. The arrangement of works by association is generally known to appear in the middle and late 19th century in the collections of Gagok affiliated Gagokwonryu. However, in this discussion, we have come to realize that the beginning of this principle was made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anonymous works of Cheongguyoungeon are not as a long and continuous pattern of common vocabulary and custom phrases like the nineteenth century song book. However, the fact that images that are ventilated in various ways appear through complex association, can be given different meaning from the later song books. It is confirmed that the reminiscence principle of the arrangement of works is reflected also in the song book of the mid and late 18th century. It is believed that the internal order of this arrangement of works has been accumulated and passed down to song book in the early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