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세기 구례 유씨가柳氏家 일기에 나타난 식물생활사 연구 (Study on the History of Plant Life in the Diary of the Munhwa Yu Clan (文化柳氏) in Gurye (求禮)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2.07
35P 미리보기
19~20세기 구례 유씨가柳氏家 일기에 나타난 식물생활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48호 / 293 ~ 327페이지
    · 저자명 : 김유진

    초록

    본고는 19~20세기 전라남도 구례 지역에 거주한 유제양柳濟陽(1846~1922) 의 일기 『시언是言』과 유형업柳瀅業(1886~1944)의 일기 『기어紀語』를 통해 19~ 20세기 문화유씨가⽂化柳⽒家 조손祖孫의 식물생활사를 고찰하였다.
    먼저, 조손의 화목花木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원예 활동은 ‘애화愛花’와 ‘애림愛林’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특히 조부 유제양은 지속적으로 인근에서 귀한 식물을 구해, 운조루雲鳥樓 주변을 가꾸는 모습을 보인다. 일기에 등장하는 원예식물로는 동백나무·대나무·모란·버드나무·소나무·오동나무·영산홍·자산홍·종려나무·잣나무·탱자나무·매화나무 등이 있으며, 해당 식물을 통해 구성하는 운조루의 자연경관은 개인적 취향과 화훼에 대한 안목 그리고 풍수지리적 사고 등이 반영되어 있다.
    화목花木을 활용한 공간의 구성은 인근 사찰로부터의 수급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들의 삶의 터전인 구례 오미동五美洞은 주변에 많은 사찰이 있었고, 그중에서도 화엄사는 유형업을 비롯한 일가 친척들이 유람하거나 유숙하는 곳으로 유씨柳⽒ 가문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지닌 곳이었다. 꽃과 나무는 스님이 직접 제공하거나 이들이 직접 사찰에 방문 또는 요청하는 방식으로 획득하였으며, 대부분 정원수로 적절한 수종이거나 귀한 품종이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lant life of the Munhwa Yu Clan (文化柳氏)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through the diary of Yu Je-yang (柳濟陽, 1846~1922), who lived in Gurye (求禮), Jeollanam-do (全羅南道)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nd the diary of Yu hyung-up (柳瀅業, 1886~1944).
    First, the interest of grandfathers and grandchildren in plants and active horticultural activities appear as ‘Aehwa (愛花)’ and ‘Aerim (愛林)’.
    In particular, his grandfather, Yu Je-yang, constantly seeks plants around him and decorates the Unjoru (雲鳥樓) area. Plants that appear in the diary include camellia, bamboo, peony, willow, pine, paulownia, Rhododendron lateritium, palm tree, nut pine(잣나무), trifóliate órange and plum trees, and the natural scenery of Unjoru (雲鳥樓), which consists of these plants, reflects individual tastes, perspective, and feng shui (風水) thinking.
    Next, the characteristic of the plant life of the Gurye (求禮) Munhwa Yu Clan (文化柳氏) is to supply and demand flowers from nearby temples.
    There were many temples around Omi-dong (五美洞), Gurye (求禮), the home of their lives, and among them, Hwaeom Temple (華嚴寺) is considered a place where relatives of the family, including tangible business, visit or stay. Flower trees were obtained by a monks themselves or by this family visiting and requesting a temple, and most of them were trees suitable for garden trees or precious varie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