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보 활용 글쓰기에 나타난 ‘바꿔쓰기’ 전략 분석 - 학문목적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Paraphrase’ in writings from sources - Focusing on texts of intermediate KAP learner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6.06
28P 미리보기
정보 활용 글쓰기에 나타난 ‘바꿔쓰기’ 전략 분석 - 학문목적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88권 / 305 ~ 332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이 논문은 학문목적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이 정보 활용 글쓰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학업기술인 ‘바꿔쓰기’의 사용 양상을 분석해 보고 이러한 기술이 텍스트를 구성하는 데에 어떻게 실현되는지 질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대학 입학 후 유학생들은 학술적 글쓰기를 어려워하며, 대학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바꿔쓰기 교육을 통해 대학 입학을 앞둔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술적 글쓰기 기초지식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대학 과제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자료 활용 글쓰기이다. 유학생들은 자료 활용 글쓰기에서 내용을 이해하고 자신의 언어로 표현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데 이때 필수적인 학업기술이 ‘바꿔쓰기’이다. ‘바꿔쓰기’란 원문의 의미는 유지하면서도 다른 표현 방식으로 텍스트를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본고에서는 바꿔쓰기의 단위를 단어와 문장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유형을 변형과 확장으로 구분한다. 단어 바꿔쓰기에서 변형은 단어를 유의어로 대체하는 것으로 실현되며, 확장은 단어 보충하기, 단어 풀어쓰기로 나타난다. 문장 수준에서의 변형은 문법 항목의 대체, 문장 구조나 어순 변형, 문장 분리와 통합, 문장 전체를 새로운 문장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문장 확장은 주어진 문장 외의 다른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다. 바꿔쓰기 기준은 두 가지로, 주어진 문장의 의미 유지, 적절한 대체 표현사용을 들 수 있다.
    분석 결과, 중급 학습자들은 바꿔쓰기 기술을 사용하고는 있지만 그렇지 않은 학습자가 매우 많았으며, 사용하더라도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복잡한 바꿔쓰기 기술보다는 단순하고 변화가 적은 기술을 선호하였다. 단어 바꿔쓰기에서 유의어로의 대체는 동일 품사로의 대체와 다른 품사로의 대체가 나타났으며, 난이도가 높은 단어 풀어쓰기는 자주 사용하지 않았다. 문장 바꿔쓰기에서는 문장 통합이 가장 많이 실현되었다. 이는 연결어미나 접속부사를 사용한 것으로 비교적 단순한 작업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각 문장에서 바꿔쓰기가 실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텍스트에서는 수준 높은 글을 발견하기가 어려웠는데 이는 한 텍스트 내에 동일한 바꿔쓰기 기술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원문을 단순하게 나열하고, 원문을 거의 그대로 옮겨 적은 데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바꿔쓰기 기술의 미숙함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수자와 학습자가 바꿔쓰기에 대해 뚜렷이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단어와 문장 바꿔쓰기 교육이 텍스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단순히 교육 방법에서 ‘바꿔쓰기’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아닌 교육 과정으로 설정하여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료 활용 글쓰기에 대해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use patterns of ‘paraphrase’, an educational technique used in writings from sources of intermediate KAP learners and investigate how this strategy realizes in forming texts. After entering college, foreign students find academic writing difficult, and do not effectively finish college assignments. Thus, this research assumes that ‘paraphrase’ must be done for KAP learners, who plan to enter college.
    Among college assignments, writings using data(information). During these writings, foreign students undergo a complex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expressing into one’s own words, and ‘paraphrase’ becomes the key educational technique. ‘Paraphrase’ is creating a text in a different expression, while maintaining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This article analyzes the unit of ‘paraphrase’ dividing into words and sentences, and categorizes the types as modification and expansion. In ‘word paraphrase’ transformation is realized by transforming the word into synonyms, expansion as supplementing words, and explaining words. Transformation in a sentence level shows replacing grammar items, transformation of sentence structures or word orders, sentence segregation and integration, and replacing the whole sentence to a new one. Sentence expansion is offering other information than a given sentence. There are two standards of ‘paraphrase’: maintaining meaning of given sentence, or appropriate replacement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although some intermediate students use ‘paraphrase’ many did not; even if they did, the students were making errors. In addition, the students tended to use simpler and less transformative strategies, rather than complex ones. Synonym replacements in ‘word paraphrase’ writings showed exchanges to same or different parts of speech. High-level word expansion was rare. In ‘sentence paraphrase’, sentence integration was most common. This seems to be because it is a simple task that uses connecting adverbs. However, although ‘paraphrase’ has expressed in each sentences, high-level writings were rare, possibly because either the students used same transformation techniques, or simply arranged and imitated the original text.
    To improve the immature exchange writing technique, both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must be clearly aware of exchange writing, and word and sentence transformation must be educated in text. Further, ‘Paraphrase’ must not just be simply used as an educational method, but must be used as a curriculum and let the students fully experience data using wri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