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의 읽기-쓰기 교육과 ‘사회적 전환’의 필요성 -텍스트적, 수사학적, 담론적 수준의 통합을 중심으로- (University Education for Reading to write and the Necessity of its ‘Social turn’ -focused on the integration of the textual, rhetorical and discursive level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2.10
36P 미리보기
대학의 읽기-쓰기 교육과 ‘사회적 전환’의 필요성 -텍스트적, 수사학적, 담론적 수준의 통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48호 / 403 ~ 438페이지
    · 저자명 : 김미란

    초록

    한국의 글쓰기 교육은 역사가 매우 짧기 때문에 초창기부터 미국의 글쓰기 교육 이론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미국의 사례를 참조하면서 이론과 방법론 등을 벤치마킹하는 것은 분명히 효율성의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미국 연구자들이 다양한 논쟁을 거쳐 축적해 놓은 이론과 교수학습 방법론 중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선별적으로 수용해 왔다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이론과 방법론의 수용이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이루어졌으며 그 폐해가 이제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 선별과정을 통해 대거 수용된 것은 인지주의에 입각한 글쓰기 교육 원리이다. 그런데 90년대 전후 미국의 작문계에서는 읽기와 쓰기가 함께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상승효과에 관심을 두었으나, 그러한 연구는 텍스트 읽기-쓰기 관계에만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학습자들이 실제로 놓여 있는 사회 구조와 그들에게 제공되는 문식적 환경을 고려하면서 맥락에 맞게 읽기-쓰기 관계를 설명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의 작문 연구가들은 이를 가리켜 작문 연구의 ‘사회적 전환’이라 칭한다.
    이와 달리 한국 대학의 읽기-쓰기 교수학습 방법은 인지주의의 자장 안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아 읽기-쓰기 패러다임이 제한적이다. 하지만 아직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여야 한다는 문제의식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텍스트적, 수사학적 수준, 담론적 수준에서 읽기와 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구상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 한국에서의 이루어진 읽기-쓰기 교육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텍스트적 수준과 수사학적 수준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담론적 수준이 대체로 도외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국의 대학생들이 쓴 글에는 담론적 수준에서 텍스트에 접근한 내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본고에서 위 세 수준을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제공한 것은 발견 학습(heuristics)을 위한 질문지이다. 창안(invention)에 해당하는 발견 학습은 비판적 탐구 방법의 일종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능동적으로 텍스트에 접근하여 세 가지 수준에서 분석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매체가 유용하게 활용되는데, 이 매체를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은 텍스트가 모방의 대상이 아니라 분석의 대상이라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게 된다. 또한 자신이 분석한 내용을 보완하고 심화시키기 위해 선행 연구를 참조함으로써 선행연구에 의존하는 수동적인 글쓰기가 아닌 능동적인 글쓰기를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읽기-쓰기 교육에서의 사회적 전환은 영역 확장을 요구하며, 이 영역 확장은 교육에 대한 인식의 틀을 확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매체에 대한 인식도 확장할 것을 요청한다.

    영어초록

    As the writing education history in the Korean Universities is very short, it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theories on the writing education of American’s. To benchmark their theories and methodologies is meaningful from the aspect of efficiency. However in that course, Korean scholars had accepted them selectively. Though American scholars had accumulated many different kinds of theories and methodologies, Koreans accepted them through the course of selection and exclusion. And the harmful influences come out now. About 1990s, American scholars had focused on the relation of reading and writing. But from that time on, they have conducted study in the direction to explain the structure of a society where the learners belong to and literacy environment which is offered to them. American scholars calls it ‘social turn’ of the composition study.
    B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about reading and writing in the Koreans universities were restrained in the framework of cognitivism. That is to say, reading and writing paradigm is restrictive. Though there are scholars with perceptions toward it, they don’t try to find a paradigm and methodologies yet. To solve this problem, I tried to have a desig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with the textual, rhetorical and discursive levels.
    Speaking more concretely, what I provide to maintain equilibrium of the upper three levels is a guide for heuristis. Heuristis as a invention is a kind of critical research. An advertising media is very useful for students to perform this task. When they use this media for analysis, not for copying, they can understand how to analyze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