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동주 시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와 저항의 의미 ― ‘天命’으로서의 시쓰기와 ‘시인’의 표상을 중심으로 (The Ethical Subject and the Meaning of Resistance in Yun Dong—ju’s Poetry ― writing poems as Heaven´s will and the image of “poet”)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3.04
35P 미리보기
윤동주 시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와 저항의 의미 ― ‘天命’으로서의 시쓰기와 ‘시인’의 표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36호 / 145 ~ 179페이지
    · 저자명 : 남기혁

    초록

    본고는 윤동주 시에 나타난 운명론과 ‘시쓰기’의 자의식, 내면적 모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당대 현실을 고려하는 가운데, 윤동주 시에 그려진 시인—표상과 분열적인 자아—서사, 더 나아가 시쓰기의 자의식이 지닌 함의를 윤리적 주체의 형성이란 관점에서 밝혀내고자 하였다. 흔히 윤동주 시는 저항문학의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 그런데 그의 저항성은 특수한 집단(민족)의 정치적 이념이 아니라 보편지향적 윤리(가령, 인류애처럼)에 기초하여 내면적 모럴의 진정성을 드러내는 방식을 통해 획득된 것이다. 특히 기독교 신앙은 윤동주가 윤리적 주체를 확립하며 내면적 모럴의 진정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본고는 먼저 윤동주의 초기시에 나타난 ‘풍경의 발견과 내면의 탄생’ 문제를 분석하고, ‘소외’된 내면이 역설적으로 시적 주체를 역사적 자아로 정립시키는 출발점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1938년부터 1940년경에 이르기까지 윤동주는 내면에 잉태된 신실한 믿음을 길러냈으며 지속적인 자기성찰을 통해 이를 절대자에 대한 확고부동한 믿음으로 발전시켰다. 그 결과 후기시(1941년 이후)에 이르러 윤동주는 신앙인의 윤리적 결단과 실천에 한걸음 다가서게 된다. 그것은 신이 부과한 ‘시인의 운명’, 즉 ‘시인’이란 슬픈 ‘천명’을 받아들이고 이에 기반한 모럴 의식을 ‘타자로서의 시쓰기’로 표출하는 위태로운 길이었다.
    ‘시인=천명’론이 지닌 가장 큰 특징은 절대적 타자인 ‘신’의 시선을 도입한 점이다. 그에게 ‘신’의 시선, 혹은 신이 부과하는 ‘비극적 운명’의 문제는 식민지 근대 사회의 타자로서 시인—표상을 드러내고, 자신의 내면의식 공간에 절대적인 윤리를 구축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특히 그의 시적 사유가 지닌 저항성은 특수성이 아닌 보편성을 윤리적 가치판단의 준거로 절대화함으로써, 특수성의 절대화로 치닫고 있던 ‘대동아공영권’의 이데올로기적 허구성을 폭로한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저항성을 통해 한국시의 내면성을 확대․심화시킨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fatalism, and the cognition of “writing poems as the other”, and the poet’s inner moral appeared In Yun Dong-ju’s poetry. For this analysis, this article examines the formation of ethical subject. Critics have argued on Yun Dong-ju’s poetry from the view point of resistance literature. However, his resistance is not expressed through the political ideology of special ethnic community such as a nation, but through the authenticity of inner moral based on the universal ethic such as love for humanity. Especially, christian faith had an absolute effect on the process of his building “ethical subjectivity” and acquiring the authenticity of inner moral.
    At first stage, this article analyzed “the discovery of landscape and the birth of the inner world” in Yun Dong-ju’s poetry, and examined that the aliened inner world of the poetic subject should be the beginning point of founding historical-self. But from 1938 to 1940, Yun Dong-ju expressed his sincere christian-faith germinated in his inner world. His faith is gradually converted into a firm belief on the absolute by his self-reflection. Finally, his poetic subject arrived at the point of ethical resolution and its practice based on his christian-faith. Now, he accepted the fate, “the sad heaven’s will(슬픈 천명)” that the God imposed on the “poet”. The heaven’s will was the only reason that he should write poems based upon his faith and morality.
    The thinking that the poet’s fate is the heaven’s will needs the God’s gaze as an absolute other. Through the God’s gaze, or poet’s tragic fate imposed by Him, Yun Dong-ju could represent the fate of “poet” as the other against the colonial modernity. And he could build the absolutely ethical base on the authenticity of his inner world. Especially, the resistance of his poetic thought is not obtained by the particularity but by the universality as an absolute standard of ethical evaluation. Thus, he could betray the ideological fictive-ness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대동아공영권)” that would absolutize “the particularity” of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