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주주의 실천과정으로서 공론장 작동과 글쓰기 교육 - 시사다큐를 활용한 시사평론 쓰기 교육 과정 사례 - (The Operation of Public Sphere and College Writing Education for a Practical Democratic Process: A Case Study of Materials to Write Contemporary Reviews Using Current‐Affairs Documentarie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5.09
37P 미리보기
민주주의 실천과정으로서 공론장 작동과 글쓰기 교육 - 시사다큐를 활용한 시사평론 쓰기 교육 과정 사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수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수사학 / 23호 / 139 ~ 175페이지
    · 저자명 : 박현희

    초록

    대학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방향은 보편적이면서도 특수한 맥락에서 시대적 과제에 적합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너무 추상적이거나 윤리적 가치만을 강조하거나 또 다른 한편으로는 기술적이고 도구적인 수준에서 글쓰기 기술(혹은 도구적 능력)을 연마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도 부적절하다.
    민주주의 구성원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은 이 양자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적정한 수준에서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제공한다. 의사소통 교육에서 키케로의 시민교육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하버마스의 공론장과 토의 민주주의는 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운영 원리를 구체화한다. 즉 글쓰기 교육의 목표는 ‘공론장 작동’을 통해 ‘의사소통 합리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은 의사소통 행위를 실천적 행위로 하는 토의민주주의에 적합한 시민, 즉 능동적으로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주체들을 양성하는 교육이다. 토의민주주의에서 시민적 덕성은 다름 아닌 공론장에서 타자성, 공공성, 자율성, 공감과 배려, 연대성 등의 규범적 가치를 구현하는 의사소통 합리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 글쓰기 교육의 장은 자율적 공론장이 되고, 이는 곧 민주주의 실천의 장이다. 글쓰기는 민주주의를 의사소통 행위로 실현하는 것이다. 신자유주의 경쟁 속에서 자기계발의 늪에 빠져 개인화되어 버린 대학의 현장에서 대학은 학문 공동체를 넘어 우리시대의 민주적이고 자율적인 공론장의 기능을 복원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글쓰기 교육이 민주주의 실천과정의 일환으로 공론장 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공론장과 토의민주주의 논의를 바탕으로 글쓰기 교육 운영 원리를 도출했고, 시사다큐멘터리를 활용한 시사평론 쓰기 교육 과정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교육과정에 나타난 민주주의 실천 교육으로서 교육적 의도와 의미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 핵심 원리는 모든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상호소통을 통해 자율적인 공론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 자율적 공론장에서 학생들은 상호존중의 자세로 상호 이해가 축적되고, 상호 주관성에 이르는 의사소통 방법을 터득해나갈 것이다.
    이 교육과정의 의의는 학생들이 우리 사회 문제에 대해 진정성 있게 접근하고, 합리적 의사소통으로 사회 변화를 추구하기 위한 의사소통 실천, 민주적 실천을 경험하는 현장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대학글쓰기 교육 과정은 공론장이 되고, 그 공론장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의사소통 이성에 근거한 공민, 시민, 자유교양인으로 성장할 것이다.

    영어초록

    College writing education should focus on developing virtuous democratic citizens who can communicate rationally to others. In deliberative democracy, civic virtue means communicative rationality embodying other-centeredness, publicity, autonomy, and solidarity. In terms of Habermas's theory of deliberative democracy,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rationality" in the "public sphere" provides the goals and guidelines for normative and instrumental values in writing education. Therefore college writing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n autonomous public sphere and part of the process of practicing democracy.
    This study suggests six essential principles of writing education that are needed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the public sphere based on the theories of “public sphere” and “deliberative democracy.” In addition, this article presents a case study which applies these six principles by using current affairs documentaries as part of the curriculum methodology to activate the public sphere as a practical democratic process. The educational intent and implications of the case study are then explained in detail. The key point of this case study is to demonstrate how to assist all students to form autonomous public spheres through communication.
    The application of the six suggested principles and the curriculum methodology facilitates students’ acquiring civic virtue for democracy through building mutu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communicative approaches to reach reciprocal subjectiv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