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시대의 문학교육과 매체융합적 수업모델 -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문학텍스트의 재매개와 ‘다시 쓰기’ (Unterrichtsmodell für literarische Bildung und Medien-Konvergenz im digitalen Zeitalter)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1.02
22P 미리보기
디지털 시대의 문학교육과 매체융합적 수업모델 -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문학텍스트의 재매개와 ‘다시 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일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일언어문학 / 91호 / 417 ~ 438페이지
    · 저자명 : 구연정, 임석원

    초록

    이 논문은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융합적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을 활용하여 인문미디어융합 교과목을 개발하고 문학교육의 현장에서 직접 가르친 경험을 토대로 뉴미디어를 통한 문학교육의 실질적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뉴미디어의 언어는 인간의 언어를 오랫동안 기록해온 문자언어와는 다르며 따라서 문학작품의 해석과 성찰적이고 창의적 글쓰기의 능력 향상이라는 문학교육과는 무관한 것으로 여겨지기 쉽다. 그러나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에 익숙한 2000년대생들은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에 익숙하거니와 그를 위한 부호변환을 요청하는 뉴미디어의 언어 또한 쉽게 익히는 편이다. 반면 전통적인 읽기와 쓰기 방식에 근거한 문학교육은 현장에서 학생들로부터 외면받기 쉽다. 이와 같은 문학교육의 환경 변화에 주목하여 필자는 먼저 문학작품을 재매개하는 디지털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학습법의 이론적 함의를 추론하고, 나아가 기존의 문학교육에 내재된 ‘수동적 읽기’를 뉴미디어의 언어를 통해 ‘능동적 쓰기’ 행위로 전환하는 수업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고전적 방식의 글쓰기 환경보다는 다양한 매체들을 재매개하고 상호작용을 지향하는 디지털 미디어야말로 텍스트에 대한 ‘능동적 읽기’로서의 ‘다시 쓰기’를 촉발하는 데 적합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학생들이 문학작품을 읽고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해서 이를 ‘다시 쓰기’ 하면서 이해하는 수업모델을 제안한다. 인문학과 매체기술을 상호협조적인 관점에서 융합적으로 결합하는 이와 같은 수업방식이야말로 새로운 디지털 매체를 생산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문학교육의 본연의 과제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Der vorliegende Beitrag versucht, eine Lehrmethode für die literarische Bildung im Zeitalter der Medienkonvergenz zu entwickeln, indem die Merkmale der konvergenten Kommunikation digitaler Medien genutzt und die praktischen Möglichkeiten der literarischen Bildung durch neue Medien auf der Grundlage der Unterrichtserfahrung im Bereich der literarischen Bildung untersucht werden. Studenten, die in den frühen 2000er Jahren geboren wurden, sind mit digitalen Medien vertraut und sind in der Lage, die Sprache neuer Medien leicht zu erlernen, die eine Kodierung oder Transkodierung erfordern. Andererseits ist die Lehrmethode für das Unterrichten literarischer Werke, die auf der traditionellen Lese- und Schreibmethode basiert, mit der Schwierigkeit konfrontiert, ein aktives Interesse und die Teilnahme von Studenten am Bildungsbereich zu wecken. Unter Berücksichtigung solcher Veränderungen im literarischen Bildungsumfeld stellen wir zunächst den theoretischen Hintergrund einer Lernmethode zusammen, bei der digitale Medien aktiv zum Umschreiben literarischer Werke verwendet werden. Zweitens wurde versucht, ein Unterrichtsmodell zu entwickeln, das das “passive Lesen” des bestehenden literarischen Bildungsbereichs in das Verhalten des “aktiven Schreibens” durch die Sprache der neuen Medien umwandelt. Diese Unterrichtsmethode, die Literaturwissenschaft und Medientechnologie aus einer kollaborativen Sicht in einer Fusion vereint, wird in der Lage sein, die ursprüngliche Aufgabe der literarischen Bildung zu erfüllen und gleichzeitig neue digitale Medien produktiv zu nutz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