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수난서사의 전복 : 사랑·전쟁·혁명의 다시 쓰기 —정연희의 신문연재소설 『불타는 신전』을 중심으로 (Subverting the Narrative of Women’s Suffering: Rewriting Love, War, and Revolution — An Analysis of Jeong Yeon-hee’s novel The Burning Templ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1.08
28P 미리보기
여성수난서사의 전복 : 사랑·전쟁·혁명의 다시 쓰기 —정연희의 신문연재소설 『불타는 신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53호 / 340 ~ 367페이지
    · 저자명 : 표유진

    초록

    정연희의 신문연재소설 『불타는 신전』(『조선일보』, 1965.1.1-1965.11.21)은1950년대 정연희 단편소설의 실존주의적 성격과 1960년대 정연희의 다른 장편소설의 여성주의적 성격이 교차하는 독특한 작품이다. 남성 중심적인 전후문학장의 주류인 소위 본격문학과 주변으로서의 대중문학의 장르적·젠더적 이분법을 교란하는 『불타는 신전』의 서사적 특수성은 한국전쟁이라는 민족사적 배경속에서 여성인물의 성적인 수난을 중심으로 서사를 전개하면서도 전후문학과 멜로드라마의의 재신성화를 위한 전형적인 여성수난서사를 비틀어 한 인간으로서실존적 자아를 확립해나가는 청년 여성과, 사랑을 통해 고독과 허무를 이겨내는공동체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불타는 신전』은 전쟁을 여성의 실존적 자각과 타자성의 자각을 이루는 계기로 형상화하며, 여성주체들이 사랑을 통해 모성을 재의미화하고 관념화된 사회제도에서 벗어난 ‘이브’들의 여성동성사회적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묘사한다. 혁명이 실패하면서 자매애적 공동체도 와해되지만, 이는 오히려 세계와 관련될 수밖에 없는 실존적 조건을 상기시킨다. 뿐만 아니라 『불타는 신전』은 반복되는 여성수난의 플롯을 근대의 직선적 진보와는 다른 방식으로 운동성을 갖는 나선형의 플롯으로 새롭게 구조화함으로써 실존적 주체로서의 청년 여성의 투지를 형상화한다. 이는 1960년대 중반의 시점에서 사랑, 전쟁 그리고 혁명을 문학을 통해 여성이라는 타자의 시선에서 재사유하는 여성작가의 독창적 시도로서 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Jeong Yeon-hee’s novel The Burning Temple is a unique novel that exists at the intersection of the existentialism of Jeong Yeon-hee’s 1950s novels and the feminism of Jeong Yeon-hee’s other serial novels from the 1960s. The novel The Burning Temple disrupts the gender and genre binary separating male-centered mainstream postwar literature and marginalized popular literatur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is novel is unique because it centers the narrative on women’s sexual hardships within the context of the Korean War. Simultaneously, the novel tells the story of a young woman who establishes her existential self, an approach that departs from the typical narratives of women’s hardship that sought the re-consecration of postwar literature and melodrama. In addition, the story points toward the potential for community to overcome hardship and emptiness through love. The Burning Temple depicts war as an opportunity for women to achieve existential awareness and objectified female awareness, and it depicts the process of female subjects re-emphasizing motherhood through love and forming a female homo-social community of “Eve,” which deviates from the ideological social system. The failure of the lovers’ revolution leads to the collapse of the sisterhood community; however, this reminds us of the existential conditions that forced us to struggle with the world due to the impossibility of existing outside the system. Furthermore, The Burning Temple represents the determination of young women as existential subjects by restructuring the recurring plot of women’s suffering into a spiral plot with motility in a way that differs from modern, straightforward progress. This approach is significant in literary history, as it constitutes an original attempt by a female writer to re-emphasize love, war, and revolution in the eyes of an objectified woman through literature in the mid-196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