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동아』 여류 장편소설 공모(公募) 연구 -소설공모라는 접경지대와 여성들의 소설쓰기 (A study on Women’s Full-Length Novel Contest -Fiction contest as borderland and women’s writing of fiction)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4.03
43P 미리보기
『여성동아』 여류 장편소설 공모(公募) 연구 -소설공모라는 접경지대와 여성들의 소설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93호 / 319 ~ 361페이지
    · 저자명 : 홍지혜

    초록

    본고는 종합생활교양지를 표방한 『여성동아』의 복간 이후 시작된 ‘여류 장편소설 공모’가 지닌 문학·문화사적 의미와 맥락을 살피고, 『여성동아』를 통해 등단한작가들이 지녔던 소설가로서의 자기정체성에 천착하여 그들의 문학 및 문단 활동이 당대 중간문학이라는 접경지대로 기능한 양상을 논구하였다. 등단처로서의 『여성동아』는 독자의 영역에서 필자의 영역으로 넘어가는 가교라는 차원에서 상징적인 매체였으나, 등단자들의 문학장 내 입지를 보장해주진 못했다. 이에 당선자 대부분 고등교육을 받았던 엘리트 여성이었음에도 기성문단의 상징폭력 하에 그들의소설가로서의 정체성은 “수줍음”이라는 망탈리테로 수렴되게 된다.
    한편 여류 장편소설공모 당선자들의 등단작은 본격문학과 통속문학이라는 양자의 경계를 넘어 그 간극을 메우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하나의 접경지대로서 기능하게 된다. 특히 이들의 작품은 ‘논픽션’에 가깝다고 평해질 만큼 깊은 자기반영성을 띠고 있었는데, 이는 기성 소설의 장르적·제도적 문법을 벗어난 글쓰기 방식에해당한다. 높은 고료를 걸고 진행된 장편소설 공모와 결부된 여성 신예 작가들의등단 장면 역시 잡지 주체들에 의해 상품화되어 대중적 관심을 모았다. 또한 작품중 몇 편은 영화로 재창작되며 기존 잡지의 독자층을 넘어 대중 일반까지 향유층이 확대되는데, 이 같은 맥락에서 이들의 작품은 ‘중간소설’로서 의미를 지니게 된다.
    그러나 이 ‘중간소설’이라는 접경지대는 본격-중간-통속이라는 새로운 제3의 지형을 고착시키는데 일조하며 신인 여류 문인, 즉 여성-엘리트-대중의 문단 진입에대한 기성문단과 상업자본 양방에서 이루어진 유보적 조치로 해석될 여지를 남긴다. 그럼에도 『여성동아』를 통해 등단했던 작가들은 문우회를 조직하며 동인지 발간이라는 계속/오래쓰기의 정치성을 도모하였고 외부의 규정과 제한이 불가능하도록 스스로의 영역을 넓혀가며 작가라는 정체성을 확보해낸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iterary and cultural historical significance and context of the ‘Women’s Full-Length Novel Contest’, which began in 1967 after the reissued collection of “Women Donga”, a magazine that advocates a comprehensive life culture magazine.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f-identity of writers who debuted through the “Women Donga” as novelists and discussed how their literature and activities in the literary world functioned as a borderland between pure literature and middlebrow literature at the time. The “Women Donga” served as a symbolic bridge, connecting the reader’s realm to the author’s domain as a platform for debut, but it did not guarantee the elected writer’s position in the literary field. Despite the fact that most of the elected writers were educated elite women, their identity as novelists converged toward a sense of ‘shame’ under the symbolic violence imposed by established literary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novels of the winners of the ‘Women’s Full-Length Novel Contest’ will function as a Borderland across the boundaries of pure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In particular, their works were so self-reflective that they were considered close to “nonfiction,” and this way of writing is outside the genre and institutional grammar of established novels. The scenes of new female writers appearing in the novel contest, which was conducted with high manuscript fees, were also commercialized by magazine editors, attracting public attention. In addition, some of the works are recreated into movies, and the range of readers of the works extends beyond the magazine readership to the general public, and from this perspective, their works have meaning as ‘middlebrow novels’.
    However, this borderland, the named ‘middlebrow novels’ helps to fix the new third topography of pure-middlebrow-popular, and can be interpreted as a reserved measure by both established literary groups and commercial capital that discourages new female writers, namely the female-elite-people, from entering the literary world. Nevertheless, writers who made their debut through “Women Donga” organized the Women Donga literature circle and published a community magazine to advocate for the practice of sustained writing and to expand their scope so that external regulations and restrictions are impossible to secure their identity as wri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