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체 전환을 통한 스토리텔링의 재구성: 웹툰과 TV드라마 <이태원 클라쓰> 비교 분석 (Storytelling Reconstruction Through Media Transit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Webtoon and TV Drama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4.12
37P 미리보기
매체 전환을 통한 스토리텔링의 재구성: 웹툰과 TV드라마 &lt;이태원 클라쓰&gt; 비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97호 / 257 ~ 293페이지
    · 저자명 : 김순정

    초록

    본고는 웹툰과 TV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를 비교 분석하여 매체 전환 과정에서 서사와 표현 방식의 재구성 양상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크리스토퍼 보글러의 영웅서사 12단계와 셔레이드 기법을 이론적 틀로 삼아 웹툰과 TV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차별성을 분석하였다.
    웹툰은 세로 스크롤 형식과 간결한 이미지 중심의 서사를 통해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짧고 간결한 서사 전달 방식으로 사건을 압축적으로 구성한다. 반면 TV드라마는 긴 호흡과 시청각적 몰입을 강화하여 서사의 감정적 깊이와 인물 간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재구성한다. 특히 TV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는 시련과 보상을 강화함으로써 영웅서사의 설득력을 높이고, 주변 인물의 역할과 심리적 변화를 더하며 내러티브의 완결성을 도모하였다. 주인공인 박새로이의 시련과 성장 과정을 중심으로 한 분석은 두 매체의 서사가 영웅서사 구조 안에서 어떻게 변주되고 강화되었는지 보여준다.
    셔레이드 기법은 두 매체에서 핵심적인 스토리텔링 도구로 작용하였다. 웹툰은 칸을 활용한 구성과 색채로 인물의 감정과 갈등을 직관적으로 표현하는 반면, TV드라마는 조명, 색채, 음향 등 복합적인 시청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인물의 심리와 서사적 긴장감을 더욱 심층적으로 표현하였다. 카메라 워크, 편집 기법 등을 통해 더 심화된 서사적 몰입과 공간 활용으로 웹툰의 평면적 셔레이드를 입체적 셔레이드로 발전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웹툰과 TV드라마의 매체적 특성과 서사적 변화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특정 작품과 장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대상을 한정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셔레이드 기법에 대한 분석이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장르와 사례를 확장하여 매체 전환이 스토리텔링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확립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가 K-콘텐츠의 글로벌 확장 가능성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서사적 기여를 조명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reconstruction of narratives and expressive techniques during the media transition process by comparing the webtoon and TV drama <Itaewon Class>. Using Christopher Vogler’s twelve stages of the hero’s journey and the charade technique as theoretical frameworks, this study analyzes the storytell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dia.
    The webtoon employs a vertical scroll format and concise, image-driven narratives to stimulate the reader's imagination, offering a compact and straightforward storytelling approach. In contrast, the TV drama emphasizes extended pacing and enhanced audiovisual immersion, reconstructing the emotional depth of the narrativ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in a more multidimensional way. Notably, the TV drama <Itaewon Class> enhances the tension and resolution stages to bolster the persuasiveness of the hero’s journey and enriches the roles and psychological dynamics of supporting characters, thereby achieving narrative completeness. The analysis of the protagonist Park Sae-ro-yi’s trials and growth highlights how the narratives in both media have been adapted and intensified within the hero’s journey framework.
    The charade technique serves as a critical storytelling tool in both media. While the webtoon intuitively expresses emotions and conflicts through panel composition and colors, the TV drama employs lighting, color, sound, and other audiovisual elements to convey characters’ psychology and narrative tension in greater depth. Through camera work, editing techniques, and spatial utilization, the study confirms that the flat charades of the webtoon have been transformed into multidimensional charades in the TV drama.
    This study provides a multifaceted analysis of the media-specific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changes between webtoons and TV dramas. However, it acknowledges the limitation of focusing on a single work and genre, and the subjective nature of interpreting the charade technique suggests the need for systematic and objective methodologies.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o diverse genres and cases to analyze the impact of media transitions on storytelling more comprehensively and establish theoretical frameworks to address these issues. Such research is expected to illuminate the contribution of media transition storytelling to the global expansion of K-content and its narrative significance within sociocultural con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