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이 쓴 한글 제문의 기억 소환 방식과 의미-조승의 남편 제문을 중심으로 (Memory recall method and its meaning in Korean Ceremonial Writing written by women -Focusing on Ceremonial Writing for Husband written by Seung Jo)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2.09
35P 미리보기
여성이 쓴 한글 제문의 기억 소환 방식과 의미-조승의 남편 제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학 / 157호 / 117 ~ 151페이지
    · 저자명 : 서경희

    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승이 남편을 위해 쓴 제문을 대상으로 20세기 초 폭력적 시대를 살아간 남편에 대한 기억을 재현하는 방식과 화자 자신의 평가, 감정을 드러내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승은 남편을 위한 장편의 제문에서 자신이 기억하는 남편 김일기의 행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고 자신의 회한을 풀어낸다. 조승은 한정된 정보로 남편 김일기의 삶을 보여주지만, 그가 외부의 폭력으로 피폐해진 생계와 집을 복원하는 것을 삶의 목표로 삼게 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서사를 완성한다. 그러나 남편을 이상적으로 형상화하기보다 그의 심리적 불안과 굴곡진 감정을 노출하면서 ‘인간 김일기’를 연민의 시선으로 그려낸다. 그리고 화자는 목격자의 위치에서 사건을 해석하는 당사자의 자리로 옮겨서 남편 죽음의 의미를 분석하고 애도한다. 서술 방식의 전환으로 청자/독자도 김일기의 삶에 몰입하여 이해하게 되며 그가 자신의 소망에 제대로 이르지 못한 한에 공감하게 된다.
    제문 속에서 화자는 여자된 도리를 다하면서 가족들의 ‘집’을 유지하고 김일기는 그럴듯한 생활이 가능한 물리적 ‘집’을 마련하면서 외부의 폭압을 견디고 삶의 의미를 확보하고자 한다. 국가의 개념이 흔들리고 부정될 때 ‘집’은 개인들에게 더욱 중요한 삶의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김일기가 삶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화자는 이러한 남편을 안쓰러운 시선으로 포착한다. 조승의 제문은 김일기를 애도하는 개인적인 글이지만, 김일기는 당시 집에서 유리된 수많은 개인들의 다른 이름일 수 있다. 여기서 이 글의 개별적, 혹은 시대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 of reproducing memories of her husband who lived in a violent era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aspects of revealing her own evaluations and emotions, targeting Seung Jo's Ceremonial Writing for her husband.
    In a long Ceremonial Writing for her husband, Seung Jo arranges the actions of her husband Il-gi Kim, which she remember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solves his regrets. Seung Jo shows the life of Il-gi Kim with limited information, but completes the narrative so that he can understand the process by which he made his life goal of restoring a living and home ravaged by external violence. However, rather than ideally portraying her husband, Seung Jo portrays Il-gi Kim with compassionate eyes, exposing his psychological anxiety and fluctuating emotions. And the narrator moves from the position of the witness to the position of the party who interprets the incident, analyzes the meaning of the husband's death and mourns. By changing the narrative style, the listener/reader also becomes immersed in the husband's life and understands it, and sympathizes with the resentment that he did not properly reach his wishes.
    In Ceremonial Writing, the narrator is doing the woman's duty to maintain a family home, and Il-gi Kim wants to provide a physical house where he can live a wealthy life. Through this, they tried to withstand external tyranny and secure the meaning of life. However, Il-gi Kim did not reach the goal of her life, and the narrator captures the life of her husband with a pitiful gaze. Seung Jo's Ceremonial Writing is a personal piece of mourning for Il-gi Kim, but Il-gi Kim could be another name for a number of individuals who were separated from their homes/houses at the time. Here, we can check the individual or historical meaning of this artic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