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듣기–쓰기’ 글쓰기 모형의 이론적 근거— ‘ 공동체 지향 글쓰기’ 의 방법론 1 (Theoretical Grounds of the Writing Model using ‘Listening-Writing’ Methodology — Methodology development 1 o‘f Community-Oriented Writing’)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7.12
25P 미리보기
‘듣기–쓰기’ 글쓰기 모형의 이론적 근거— ‘ 공동체 지향 글쓰기’ 의 방법론 1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예창작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창작 / 16권 / 3호 / 195 ~ 219페이지
    · 저자명 : 김수이

    초록

    그동안 글쓰기교육은 ‘읽기-쓰기’ 모형을 중심으로 ‘말하기-쓰기’ 모형을 보조적으로 활용해 왔다. 읽기-쓰기 글쓰기 모형은 글로 쓰인 텍스트를중심으로 읽기(수용)와 쓰기(생산)를 전개함에 따라, 글쓰기의 원초적이며 궁극적인 재료인 ‘인간과 삶’에 대해 2차적인 위치에 있게 된다. 인간과 삶 자체와 직접 만나기보다는 ‘글’을 매개로 하여 인간과 삶을 학습하는 양상으로 전개되는 까닭이다. 또한 글쓰기에서 가장 가치 있게 여겨지는, 글 쓰는사람 자신의 경험을 쓰는 일에서도 기존의 글-텍스트를 참조하여 창의적으로 재구성하거나 재창조하는 양상을 띠게 된다.
    본고는 지금까지 글쓰기교육이 ‘주체의 사고・표현 능력 향상 및 자기실현’에 몰두함으로써 타자와 공동체에 대해 적극적으로 사유하지 못했다는반성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낳은 원인의 하나가 그동안 글쓰기교육의 방법론이 읽기-쓰기 모형 위주로 전개된 점에 있다고 본다. 말하기-쓰기 모형 역시 주체의 생각과 표현을 위한 주체 중심의 활동이라는 점에서동일한 문제점을 노출한다고 본다.
    이에 본고는 타자의 말을 직접 듣고, 글로 쓰이지 못하고 목소리를 갖지못한 공동체의 목소리를 직접 혹은 상상하여 듣고 쓰는 ‘듣기-쓰기’ 모형을 제안한다. 듣기-쓰기 모형은 읽기-쓰기 및 말하기-쓰기 모형에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약점을 보강하는 상호보완적인 모형이다. 듣기-쓰기 모형은 인간과 삶(이라는 1차 텍스트)에 직접 밀착하고, ‘기록된 글’을 넘어세계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의 소리를 대상으로 하며, 주체 자신의 경계를흔들어 타자에게 다가가 타자와 공동체로서 느끼고 사유하는 데 중점을 둔다. 듣기-쓰기 글쓰기 모형이 지향하는 타자와 공동체에 대한 윤리적인 사유는, 진정한 자기의 실현을 위해서도 ‘타자로서 자기 자신’을 만나고 타자와 ‘공동의 현재’를 수립하는 일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이중의 효력을 갖는다. 듣기-쓰기 모형은 인간성의 상실과 공동체의 와해가 인류의 위기를가속화하는 오늘의 현실에서 타자와 공동체에 대한 사유를 통해 글쓰기교육이 인성교육을 병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으로도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Writing Education has used ‘Speaking-Writing’ Model just accessorily while mainly focusing on ‘Reading-Writing’ Model until now. A ‘Reading- Writing’ Model is always placed in the secondary position regarding to ‘Human Beings and Their Lives’ as the basic and ultimate subjects of writing as the model develops reading (accepting) and writing (producing) targeting some written texts. The reason is because ‘Reading-Writing’ Model cannot help but being developed in a way that human beings and their lives are learned by the medium of a piece of writing rather than facing human beings and their lives directly. In addition, it is in a strong trend that writing a writer’s own experiences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and valuable parameter in writing is also being developed in a way of being reorganized or recreated creatively by referring to the exiting pieces of writings and texts.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self-reflection that writing education could not have considered other people and a community more aggressively since it has been immersed in ‘the enhancement of ways of thinking and expression of a subject body and its self realization’ until now. One of the causes having generated such kinds of problems is originated from the development of the existing writing education methodology having focused on ‘Reading-Writing’ Model until now. It is assumed that the ‘Speaking-Writing’ Model is exposed to the same kinds of problems from the aspect that the model is also a subject bodyoriented activity for expressing the ideas and thoughts of a subject body.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re is suggested a ‘Listening-Writing’ Model for listening directly to others’ words and for listening directly to or while imagining the voices of a community which cannot write by itself or has no voice of itself. The ‘Listening-Writing’ Model is not conflicted against the ‘Reading-Writing’ and ‘Speaking-Writing’ Models, but a mutually supplementing model for supplementing the weaknesses. The ‘Listening-Writing’ Model is closed directly to the primary texts mentioning human beings and lives and targets the sounds of all things existing over the world while overcoming the limits of ‘written writings’ and focuses on feeling as a community with other people and thinking ethically while approaching to other people by putting his ego out of his subject body. An aggressive reason for the other people and a community which the ‘Listening-Writing’ Model pursues has the double-effects from the aspect that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death of self ’ and ‘self-ego as another person’ for realizing a real self.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Listening- Writing’ Model might be useful as a specific methodology with which the writing education can run parallel with some humanistic education through the thoughts of the other people and a community under the reality of the present days when the crises of mankind is accelerated due to the loss of humanity and the collapse of each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창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