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안한 주체의 시선과 글쓰기: 1930년대 남성작가의 아내표제소설 읽기 (Anxious Subjects, Their Views and Writing - Reading Wife-titled Novels of Male Writers in the 1930’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6.04
41P 미리보기
불안한 주체의 시선과 글쓰기: 1930년대 남성작가의 아내표제소설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37호 / 129 ~ 169페이지
    · 저자명 : 이상진

    초록

    이 논문은 1930년대 남성작가가 쓴 아내표제 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태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작가로서 남성주체는 당시 여성(아내) 현실에 대해 어떤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본주의적 가부장제와 식민지 현실에서 근대지식인으로서 무력한 남성성과 주체의 불안이 여성(아내) 이미지 재현과 어떤 상관성을 보이는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김유정은 「안해」에서 우부와 우처의 궁합을 희화화시켜 그림으로써, 가부장의 폭압을 폭로하고 회피하는 전략을 보였고, 김동인은 「무능자의 아내」에서 무능한 남편의 실책을 아내의 충동적 가출에 의한 타락과 불행이라는 결과로 은폐하고 있다. 이광수와 이기영의 모델소설, 「혁명가의 아내」와 「변절자의 아내」에서는 아내를 이념논쟁의 대리인이자 변절과 타락의 원흉인 악처로 그렸다. 김남천은 전향소설인 「처를 때리고」, 「이런 안해」에서 아내를 자기혐오에 빠진 위축된 남편들의 가상의 적대자이자 위험한 제2부인으로 그림으로써 비난을 전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도 주체적이고 이성적인 가정 관리자를 등장시킨 안석영의 「안해」나 자립적인 노동자로서 남편과의 계급적 대립을 넘어 주체적인 여성을 형상화한 채만식의 희곡 「감독의 아내」는 주목할 만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남성지식인의 글쓰기에서 아내는 주로 근대지식인의 위험하고 나쁜 동반자이거나 우둔하고 일탈적인 타자로 재현되었다. 또한 불안한 남성주체의 시선에 의해 왜곡되고 삭제된 채 그려졌으며, 현실 문제를 은폐하기 위한 자기방어 전략의 희생물로서 해석상에서도 사각지대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ttempts to look at the writing ethics of some male writers of the 1930’s by analyzing their wife-titled novels. Two things were discussed: first, what kind of critical understanding the male subject, as a writer, has regarding the suppressed reality of the female or wives at the time, and secondly, how much related is the reproduction of the women with the helpless masculinity as modern intellectual within the context of the capitalist patriarchy and the colonial society.
    Yoo-jeong Kim reveals and evades the patriarchal tyranny by producing a caricature of foolish husband and wife. Dong-in Kim conceals the good-for-nothing husband’s mistake with his wife’s impulsive running away from home and her final corruption. In the works of Kwang-soo Lee and Ki-young Lee, wives are described both as the deputy of idealogical disputes and as bad women causing defection and corruption. Nam-chun Kim intentionally misrepresents wives as imaginary opponents of the husbands immersed in self-hatred, thus the wives wear the masks of dangerous second wives. However two noteworthy accomplishments were also found: the first one is Seok-young Ahn’s “Anhae”, which presents a subjective and rational wife, and the second one is Man-sik Chae’s drama which portrays an independent woman, a self-reliant laborer, who firmly goes her own way in spite of the violence of the superintendent husband.
    The wives in the male writers of the 1930’s, as shown above, were mostly reproduced as dangerous evil companions or stupid deviant others. They were distorted and eliminated by the anxious male subjects/writers, and moreover they were left and ignored in a dead zone of interpretation as victims of self-defense in order to conceal the dark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