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게로닛키』의 불행의식 -미치쓰나 어머니의 심정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wareness of Unhappiness in “KAGERONIKKI” - Centered on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Michitsuna’s Mother -)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1.11
18P 미리보기
『가게로닛키』의 불행의식 -미치쓰나 어머니의 심정표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 / 92호 / 97 ~ 114페이지
    · 저자명 : 안정숙

    초록

    『가게로닛키』의 작자 미치쓰나 어머니는 자신의 삶을 회상하는 이 작품에서 자신의 인생에 대해 참으로 불행한 여자로 규정하며 작품의 전반적인 색조를 어둡고 우울하게 그리고 있다. 본고에서는 『가게로닛키』에서「あはれ 아와레」「かなし 가나시」「憂し 우시」「心細し 코고로보소시」「はかなし 하카나시」 의 심정표현과 작자자신이 직접 언급한 「さいはひ 사이와이」의 장면을 통해 그녀의 불행의식을 고찰해 보았다. 「はかなし」의 장면을 고찰한 결과, 작자는「모노하카나시」의 형태로 상권의 서문과 말미에서 자신의 인생 전체에 대한 허망함을 나타내고 있고 세월의 고비마다 뜻대로 되지 않는 인생의 덧없음을 한탄하고 있다. 「사이와이」에 대한 표현에서 작자가 말하는 [복 있는 사람」은 가네이에를 말하고 「복 없는 신세」는 작자자신을 칭하며 「뜻하지 않은 복」이란 아들 미치쓰나의 출세를 의미한다. 작자는 가네이에에 대한 애정 외에는 절절한 감정을 표현하지 않지만 「사이와이」를 언급한 장면을 통하여 그녀의 뜻대로 되지 않는 허망함이란 자신에게 자식이 많이 없다는 것, 가네이에의 새 저택에 입주하지 못하여 도키히메와 같은 처지가 되지 못한 것, 그리고 외아들 미치쓰나의 불확실한 장래였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작자는 가네이에와의 결혼생활에서 매일같이 방문해 주지 않는 가네이에에 대한 불만과 원망은 절절히 표현하고 있지만 그녀가 다 말하지 못한 불행감은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하카나시」심정에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여자로서, 아내로서 남편에 대한 사랑을 끊임없이 갈구하여도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무상함을 포함한 세계이다.

    영어초록

    Michitsuna's mother, author of "Kageronikki", a litetary work looking back on her life, defines her life as a woman who is truly unhappy, or a woman’s life in vain, setting the overall tone of the work dark and gloomy. This paper examines the author's sense of unhappiness through the scenes of "saihage" and the dark expressions of feelings, such as "Aware," "Kanashi," "Ushi," "Kokorobososhi," and "Hakanashi" in 『Kageronikki』.
    On examining the scene of "Hakanashi" among the dark expression of emotions in "Kageronikki", the author expresses the emptiness of his entire life in the form of "Monohakanashi" at the end of his life. She laments the futility of a life that did not work out as she had desired.
    In the expression for "saiwai", the "saiwaihito" refers to Kaneie, while "saiwainakarikerumi" refers to the author herself, and "oboenusaiwai" means the unexpected success of her son, Michitsuna.
    The author does not express any intense emtions other than her affection for Kaneie, but the scene mentioning "saiwai" suggests that her feeling of emptiness about the life against her wishes implies that she failed to give birth to many children, that she could not move into Kanei's new mansion and be in the same situation as Tokihime, and that the future of her only son, Michitsuna, remained uncertain.
    The author expresses poignantly her dissatisfaction with and resentment against Kaneie as he did not visit her every day during their married life, but the unhappiness she couldn't tell was in a "hakanashi" feeling about things not going as planned. Thus, it is a world of futility where she constantly longs for love for her husband as a woman and wife, but to no avai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