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랜스내셔널 지성사 다시 쓰기: 식민지 시기 ‘한국적 니체’의 생애연구, 1920〜1945 (Rewriting Transnational Intellectual History: A Case of Nietzsche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1920〜1945)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5.03
36P 미리보기
트랜스내셔널 지성사 다시 쓰기: 식민지 시기 ‘한국적 니체’의 생애연구, 1920〜1945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계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 34호 / 25 ~ 60페이지
    · 저자명 : 육영수

    초록

    본 연구는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양사상의 한국적 수용 및 전유과정과 그 지성사적 성격과 특징을 전 지구적(global)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을 기본목표로 한다. 특정 인물과 사상이 국경선을 넘나들며 얽히는 혼종성과 상호교류성에 주목하여 1920-1945년을 이 땅에서 살았던 ‘니체의 한국적 삶’을 재구성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 제기한 핵심적인 질문들을 다음과 같다. 니체 사상은 누구를 대상으로 전파되고 그 과정에서 ‘오리지널’ 사상은 식민시대 조선의 사상적 전통과 어떻게 굴절·충돌하는가? 조선지식인들은 그들이 직면했던 1920년대와 1930년대라는 각기 다른 역사적 콘텍스트에 비춰 ‘같은 제품’을 어떻게 다른 포장과 내용으로 재창출했는가? 20세기 전반 조선지식인들이 재구성했던 니체의 생애는 같은 시기 중국·일본 지식인들의 그것과 어떻게 구별되거나 공통적인가?이런 질문들에 대답을 모색함으로써 니체사상을 식민지 조선이라는 공간에 유폐시키는 대신, 일본·중국 지식인들과 교류·소통하면서 형성된 동아시아의 ‘엉킨 지성사’를 입체적으로 서술하기를 제안한다. 니체를 일국적(一國的) 경계로부터 탈영토화 시켜 근대 서양과 동아시아의 안팎을 왕래했던 디아스포라 유랑자로 재조명함으로써 ‘경계 사유’(border thinking)’에 입각한 트랜스내셔널 시대의 대안적인 지성사 서술에 도전해 보려는 것이다.

    영어초록

    Friedrich Nietzsche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nd controversial modern thinkers in Europe. As an intellectual idol and the central symbol of the post-Christian and post-Modern era, Nietzsche was widely consumed in East Asia at the turn of the Nineteenth century. A few Korean intellectuals also became ardent followers of Zarathustra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In order to reappraising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legacies of Korean intellectuals’ encounter with Nietzsche between 1920-1945, the paper rai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y had been Korean intellectuals attracted to this German prophet of extremity, and how had they appropriated and propagated Nietzschean philosophy for the purpose of reforming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d thus modernizing colonialized Korea? How differently/commonly Japanese, Korean, Chinese intellectuals had received and perceived Nietzsche’s works and collectively contributed to establishing East Asian discourse on Nietzsche? By answering these questions, the author intends to re/over-write an alternative transnational intellectual history based on the mode of ‘border thin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