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극의 탈역사화 경향: 역사의 유희와 일상사적 역사 쓰기 (The Dehistoricization Trend in Historical Plays: Play with History and Everyday Life History Writ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2.12
34P 미리보기
역사극의 탈역사화 경향: 역사의 유희와 일상사적 역사 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48호 / 51 ~ 84페이지
    · 저자명 : 김성희

    초록

    1990년대 이후 한국 역사극은 이전 시대의 역사극과 주제 및 소재의 접근방식, 역사 다시쓰기의 방식에서 획기적으로 달라진 양상을 보인다. 원본으로서의 역사와 거대서사에 대한 불신, 역사의 발전과 총체성에 대한 믿음이 사라지면서 역사극은 탈역사화하고, 개인과 일상, 팩션이 역사극의 주요 코드로 부상한다. 역사의 재현보다는 허구성이 두드러지고, 컨텍스트에서 일탈하여 역사를 자유롭게 유희하는 경향이 지배적이 된다. 근대적 역사극이 역사라는 내용에 종속되었다면, 이 포스트모던 역사극은 허구라는 프레임으로 역사를 새롭게 스토리텔링하는 새로운 역사쓰기를 지향한다.
    본고는 1990년대 이후 대두한 포스트모던 역사극의 경향 중 역사의 유희, 일상사적 역사쓰기와 식민지 근대성의 재현 양상을 주목하고, 이러한 새로운 역사쓰기가 지향하는 목표와 표상의 문제, 텍스트적 전략을 3편의 역사극, 박근형의 <대대손손>(2000), 박수진의 <용병>(2000), 성기웅의 <조선형사 홍윤식>(2007)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대대손손>은 현재를 시작점으로 놓고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는 플롯구성을 통해 단일민족 신화를 해체하며, 동시에 식민의 역사가 단순히 일제의 강압에 의한 것만이 아닌, 한국인의 자발적 협력에 의해서도 형성된 것이라는 것, 다시 말해 식민의 역사에 우리 자신도 책임이 있다는 것을 폭로한다.
    <용병>은 식민지시기의 독립운동과 광복 후 전개되어온 현대사를 대비시킴으로써 여전히 지속되어온 식민성, 즉 포스트콜로니얼한 현재를 부각시킨다. 과거는 구원을 호소하는 현재의 요청에 따라 출몰하는 ‘역사의 유령’으로 제시된다. 가공의 일기, 편지 등 사적 기억에 의한 역사를 몰락과 파국의 현재와 대비되는 메시아적 이미지로 소환함으로써 역사를 정치화하며, 역사에 정치적 소망을 부여한다.
    <조선형사 홍윤식>은 1930년대를 자본주의적 일상이 뿌리내리기 시작한 현대의 기점으로 접근하며 일상의 미시적 재현을 시도한다. 식민지 경성의 일상적 삶을 구성하는 기호의 목록들은 문명과 야만, 근대와 전근대로 이분화된 것이지만 서사가 진행되어 갈수록 서로 뒤섞이며, 후자가 전자를 압도하는 표상체계로 반전된다.

    영어초록

    In Korea, historical plays took an epoch-making turn from the previous historical plays in terms of approaches to topic and material and methods of rewriting history in the 1990s. Historical plays became dehistoricized with individual, everyday life, and faction emerging as major codes of historical plays according to mistrust in history and grand narrative as the original and disappearance of trust in the growth and totality of history. A new trend became dominant of presenting fictionality prominent instead of reproduction of history and freely playing with history outside the context. While modern historical plays were subject to the content of history, post-modern historical plays sought after new history writing to tell a new story on history within a framework of fiction.
    Focusing on some of the trends in post-modern historical plays since the 1990s, which include play with history, daily life-style history writing, and reproduction patterns of colonial modernity, this study examined the goals, representations, and text strategies of new history writing in three historical plays, Generation After Generation(2000) by Park Geunhyung, The Mercenaries(2000) by Park Sujin, and Chosun Detective Hong Yunshik(2007) by Sung Giwoong.
    In Generation After Generation, the author adopts a plot of starting with the present and tracing back to the past, breaking down the myth of racially homogeneous nation. At the same time, he discloses that the colonial history is not just by the oppressive force of Japan but also by the voluntary cooperation of Korean people. That is, we are also accountable for the colonial history of the nation.
    The Mercenaries contrasts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against the modern history developed after Liberation, thus highlighting the still continuing coloniality, namely post-colonial present. The past is presented as the "phantom of history" making its appearanc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resent hoping for salvation. The author politicizes history and grants political wishes to history by summoning the history by personal memories such as fictional diaries and letters with Messiah-like images opposed to the present of collapse and catastrophe.
    In Chosun Detective Hong Yunshik, the author makes an attempt at the microscopic reproduction of daily life by approaching the 1930s as the modern period when capitalist daily life started to take root. The lists of signs comprising daily life in colonial Gyeongseong are divided between civilization and savagery and between modern and premodern. With the progress of narrative, however, they become mixed together and reversed in the representation system in which the latter overwhelms the form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