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공공간의 써피스 디자인 감성표현 연구 -어린이 놀이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motional Expression of Surface Design in Public Space - Focusing on the children's play area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2.10
12P 미리보기
공공공간의 써피스 디자인 감성표현 연구 -어린이 놀이공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7권 / 7호 / 325 ~ 336페이지
    · 저자명 : 치아오슈앙, 이수영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아동기는 생애 발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는데, 환경은 아동들의 신체적, 정신적 성장에 큰영향을 미친다. 현대 사회적으로 다변화된 환경에서 어린이 놀이 공간은 대부분 비슷한 형태를 유지해왔으며, 공간기능이 단순하여 어린이 놀이와 아동들의 성격 발달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미래의 어린이 놀이 공간디자인은 놀이 공간뿐 아니라 감각적이고 재미있는 교육공간이 되어야 한다. 써피스 디자인의 표현요소는 시각과 촉각의 감성표현에 중점을 두어어린이를 더 매료시킬 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성장 욕구를 만족시키다. 써피스 디자인은 어린이 놀이 공간와 공공공간디자인에새로운 연구적 의미 가지고 있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감성 디자인의 정의와 과정을 분석하고 기존 어린이 놀이공간의 개념과 아동 욕구를 연구했다. 둘째, 아동의 욕구와 감성 디자인 내용에 따라서 어린이 놀이 공간과 써피스 디자인의 관계를 정리한다. 셋째, 설계사례를 토대로 전통적 놀이터 3곳과 창의적 놀이터 8곳 등 총 11개 사례를 재질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에 따른 비교 결과을 도출하고, 놀이 공간에서 써피스 디자인의 역할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써피스디자인이 아동 놀이 공간의 감성적 표현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아동 놀이 공간디자인의 제시와 방향에 대하여 연구적 의의를 탐구한다. (결과) 어린이놀이터 사례 분석 결과 전통적인 놀이터는 실용성과 기능성을 강조한 반면 조형 형태가 단조롭고 획일적이며, 전체적으로 심미성이 낮은 수준으로 평가됐다. 조형미가 부족하여 어린이들에게 효과적인 심미적 경험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창조적 놀이터 사례를 종합 분석한 결과 다양한 유형의 흥미로운 표면 형태가 높게 평가됐다. (결론) 감성적인 써피스 디자인은 어린이들이 놀이 공간에보다 빠르고 쉽게 적응하게 하고, 어린이 공간의 교육적 의미를 실현한다. 어린이 놀이 공간은 써피스 디자인 요소가 들어가 되어 있으며, 어린이들의 놀이 공간이 놀이만 가능한 공간에서 미적 감성을 높일수 있는 감성 공간으로 변화한 것도 놀이 공간디자인 자체에 혁신적이다. 감성 디자인이 적용된 어린이 놀이 공간은 써피스 디자인과 어린이 놀이 공간 모두에 새로운 시지각적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Childhood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period of development in an individual’s life, and the environmen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hysical and mental growth of children. However, in current times, most children’s play spaces maintain a similar shape, and these spaces only have a single function, which cannot meet the various requirements of children’s play and character development. The design of children’s game spaces in the future should not only meet the function of children’s games but should also be designed as emotional and interesting educational spaces to meet their growth needs. The presentation element of the surface design focuses on visual and tactile emotional expression, which not only makes children more fascinated but also satisfies their growth needs. Surface design has a new research significance for children's play space and public space design. (Method)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definition and process of emotional design are analyzed, and the concept of existing children’s play space and children’s needs are studied.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space and surface design according to children’s needs and emotional design content. Based on the design examples, a total of 11 examples, including three traditional playgrounds and eight creative playgroun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aterial classification.
    Finally, the role of surface design in the play space was described based on the comparison of exampl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of surface design, which affected the perceptual performance of children’s play space, the direction and significance of children’s play public space design were explored. (Results) The case analysis of children’s playgrounds showed that traditional playgrounds emphasized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In contrast, the surface had few expression elements, a monotonous shape and form, and a low overall aesthetic. Due to the lack of emotional expression elements, the level of spatial emotional design was low; therefore, the attraction to children was reduced.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reative playground cases showed that a variety of interesting surface expression elements were reflected in the cases, and the emotional design level of the amusement park was improved; therefore, the amusement park received a high evaluation. (Conclusions) The emotional surface design allows children to adapt to the play space faster and more easily and realiz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hildren’s spaces. Thus, children’s spaces, which contain rich emotional expression elements of surface design, are transformed from a space that can only play games to a perceptual space that can improve aesthetic sense, proving innovative for the game space design itself. In summary, the emotional design of children’s play spaces provides a new direction for surface design and children’s play sp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