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로그, 생명자본주의, 새로 쓰는 한국문화론의 행방에 대하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ism of Korea Culture by Lee O-young Published after the 2000s : Focusing on Digilog and The Vita Capitalism)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2.08
38P 미리보기
디지로그, 생명자본주의, 새로 쓰는 한국문화론의 행방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이화어문논집 / 57호 / 171 ~ 208페이지
    · 저자명 : 홍래성

    초록

    이 글은 이어령의 후기 사유에 해당하는 “디지로그”(2006)와 “생명이 자본이다”(2014)를 대상으로 그 성격과 특질이 어떠한지를 석명해보고자 한 시도이다. 우선, “디지로그”와 “생명이 자본이다”를 살피기에 앞서 직접적인 연관성을 지닌다고 판단되는 두 편의 글을 검토하며 전반적인 맥락을 파악해보았다. 이를 통해 ‘쌍방향성’, ‘상대적 관계’, ‘둘 다’라는 개념이 차후 이어령의 언설에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원형질로 삼아질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 다음, “디지로그”와 “생명이 자본이다”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으로 나아갔다. “디지로그”는 제목처럼 디지털과 아날로그 간의 결합을 모색하는 글이되, 실제로는 디지털이 마냥 강조되는 분위기에서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아날로그가 가진 중요성을 환기하려는 의도 및 곧 도래할(혹은, 이미 도래한) 정보시대에서 한국인이 문화적으로 얼마나 적합한지를 밝히려는 의도를 담아낸 글이라고 파악된다. 한편, “생명이 자본이다”는 기존의 자본주의가 한계에 이르렀다는 판단 아래, 새로운 형태의 자본주의를 제창해보려는 거대한 포부를 보여준다. 더하여, “생명이 자본이다”는 “디지로그”와 동일한 의도를 품고 있던바, 마찬가지로 생명자본주의를 실현하는 데 있어 한국인이 문화적으로 얼마나 적합한지에 관한 서술을 문면의 이곳저곳에서 드러낸다. 생명과 자본주의를 연결 지으려는 시도는 일종의 패러다임을 뒤집으려는 행위로써 충분히 경청할 만하되, 아직은 더 구체화하여야 할 부분이 많은 듯 여겨진다.
    기실, “디지로그”와 “생명이 자본이다”는 서언·선언의 기획에 해당한다. 그렇기에, 불투명하다거나 추상적이라는 느낌을 주는 대목이 없지 않다. 다만, 생의 끝자락에서 출간된 “너 어디에서 왔니”(2020)와 사후에 출간된 “너 누구니”(2022), “너 어떻게 살래”(2022),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예정인 그 후속작들을 통해서 이어령의 목소리가 좀더 선명해지리라는 기대를 품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log(2006) and The Vita Capitalism(2014). Before examining Digilog and The Vita Capitalism, I read the two texts to grasp their overall context. This confirmed that the concepts of “interactive”, “relative relationship”, and “both” play and important role in Lee O-young’s writings on the future. Then, I analyzed Digilog and The Vita Capitalism. As the title suggests, Digilog is a text that seeks convergence between digital and analog. However, in reality, it is intended to emphasize analog, opposing the atmosphere that emphasizes digital. It also has the intention of emphasizing the suitability of Korean culture to the information age. The Vita Capitalism contains the huge ambition of proposing a new form of capitalism, under the judgment that existing capitalism has reached its limit. The attempt to link life and capitalism is a paradigm-shifting act. However, there are many elements that need to be more specific.
    In fact, Digilog and The Vita Capitalism correspond to the introduction or declaration of a larger project, meaning that they often feel opaque or abstract. However, it can be expected that Lee O-young’s voice will become clearer through his works in his later years and works that have not yet been publish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화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