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쓰기로서 시쓰기’ 모형의 제안 -‘A→B 어휘 바꾸기’를 중심으로- (A Proposal of ‘Poem Composition as Writing Model’ -Focusing on ‘A→B vocabulary changin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4.12
24P 미리보기
‘글쓰기로서 시쓰기’ 모형의 제안 -‘A→B 어휘 바꾸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교육학 / 45호 / 489 ~ 512페이지
    · 저자명 : 최종환

    초록

    이 연구에서는 ‘글쓰기로서 시쓰기’라는 작시법 틀을 교육학적 관점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이 작시법 틀은 시를 써 본 경험이 전무한 학습자와 그들을 지도하는 교수자에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구안된 것이다. 이 틀은 ㉠ 교수자가 제시한 예시시 속에서 비유점화체를 발견하는 단계, ㉡ 예시시 관찰을 통해 자신이 쓰고자 하는 시의 핵심어인 AB를 구상하는 단계, ㉢ A 관련 밑그림을 그려보는 단계, ㉣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B측 어휘들을 모으는 단계, ㉤ A측과 B측 어휘를 교계함으로써 자작시를 완성해 보는 절차적 단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핵자는 ‘A→B 어휘 바꾸기’ 모형의 설계에 놓인다. 이 쓰기 모형은 핵심어A에 대한 묘사 글을 완비해 놓은 박스와 핵심어B의 연관 어휘들을 담아두는 또 다른 박스를 마련하면서 운용된다. 묘사적 글쓰기에 소용되는 A측 어휘들을 B측 핵심어 관련 어휘로 점화시킴으로써 글쓰기를 순간적으로 시쓰기로 변환하는 작시(作詩) 테크닉인 것이다. 다시 말해 교수자가 건넨 예시시를 모방하며 상상한 자신의 A구도를 묘사글쓰기 차원에서 수행하고, 그 구도의 일부에 ‘쓰기 점화체’ B를 걸어 시쓰기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하여 이 쓰기 모델은 ’A(묘사부)→B(비유점화체)’라는 단순한 틀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글쓰기 공간인 A영역에서는 핵심어A와 관련된 내용을 서술하거나 묘사하고, B영역의 어휘들은 수업 중 스마트폰 검색으로 마련하면 된다. 학습자들은 시를 쓴다는 마음을 버리고 A의 영역에 자신이 생각하는 특정 풍경을 세밀 묘사하여 보존한 후, 그 어휘 몇 개를 지운 자리에 B 박스 속 어휘들을 끼워넣게 된다. B측 어휘들로 A측 어휘들을 ‘점화’시키는 이 경로를 통해 글쓰기는 A→B 비유 구도로 전환되며 그에 상응하는 ‘시적 효과’가 나타난다. ‘A→B 어휘 바꿔 쓰기’ 교수학습 모형은 기존 초중등 시쓰기 교과학습 모형의 가동 범위를 확대하는 것은 물론 발본적 상상력이 요구되는 대학 학습자들의 글쓰기 공간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생산된 시들의 평가는 ‘포트폴리오 평가’와 ‘합평 평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nt to propose an art of verse making as ‘poem composition as writing’ in terms of education. The key of this writing model is in the design of the ‘A→B vocabulary changing’ model. This model begins with a box containing writings describing keyword A and another box containing vocabulary associated with keyword B. By igniting vocabulary in side B, this model enables poem composition that converts a writing into a poem instantly. In other words, this writing model, in which the learner performs his/her own imagined plot A with imitating an example poem provided by the teacher and develop the writing into poem composition by applying ‘writing igniter’ B, is nothing but a simple frame ‘A (description part)→B (parable igniter).’ In area A, which is a writing space, only detailed description of keyword A is performed, and vocabulary for filling area B can be obtained from smart phone search during the class. The learners, forgetting poem writing, just describes a scene imagined in his/her mind in area A and preserve the writing, and then erase specific vocabulary in the area and, instead, put vocabulary from box B in the emptied space. By doing so, vocabulary in side B overlaps the scene in area A. This ‘A→B vocabulary changing’ teaching‐learning model not only expands the application of existing elementary and secondary poem composition learning models but also is usable in college students’ writing space that requires drastic imagination. Poems created in this process can be assessed through ‘portfolio assessment’ and ‘joint re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교육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