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핵심 역량 기반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초등 국어과 쓰기 교육 방법 (Elementary Korean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Key Competence Bas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4.03
35P 미리보기
핵심 역량 기반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초등 국어과 쓰기 교육 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작문연구 / 20호 / 73 ~ 107페이지
    · 저자명 : 원진숙, 왕옥진

    초록

    OECD가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핵심 역량’의 중요성을 제기한 이래,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교육 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여 이를 학교 교육을 통해 실현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국어교육도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작업을 통해서 총론 수준에서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창의성 함양과 인성 함양으로 집약하면서 이른바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표방하였다. 그러나 이 핵심 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은 선언적인 구호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들을 통해서 추출된 미래 핵심 역량과 초등학교 국어과 쓰기 교육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표방하고 있는 핵심 역량 기반 창의 인성 교육을 실제 교수 학습 현장에서 구현할 수 있는 초등 국어과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국어과 쓰기 교육은 ‘자기 관리하기, 사고하기, 언어·상징·텍스트 활용하기, 문제해결하기, 타인과 관계맺기, 담화 공동체 안에 참여하고 기여하기’의 하위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3가지 범주의 창의 역량, 인성 역량, 사회 역량을 함께 강화할 수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이러한 핵심 역량을 교육할 수 있는 대안으로 ‘핵심 역량 기반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초등 국어과 쓰기 수업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핵심 역량 기반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초등 국어과 쓰기 수업 모델은 ‘재미’, ‘통합’, ‘탐구와 소통’, ‘창의적 사고를 촉발하는 교사의 마중물 언어’의 요소를 중심으로 하며, ‘그림책의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관문 활동→ 그림책의 시각적 이미지 탐구 활동→ 통합적 탐구 활동→ 질문하기→ 장르 선택해서 글쓰기→ 공유하기’의 단계를 거쳐 수업으로 구현된다. 핵심 역량 기반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초등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은 이제까지의 쓰기 교육이 기능, 과정, 방법, 전략 등에만 치우쳐 정작 글쓰기 주체의 목소리가 없는 도식적이고 재미없는 쓰기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가 유의미한 쓰기 상황 맥락 안에서 실제적인 쓰기 수행을 통해 창의 역량, 인성 역량, 사회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With the OECD DeSeCo projec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key competence” many nations have realized that competitive education is the root of national competence. Therefore, there have been a push in making policy to pick out the “key competencies” and implementing it into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at the outline level of the reform of 2011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 process have determined the most needed competence in the future of society is creativity and character. So an education process was declared to focus on the cultiva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However, this education process based on key competencies has only been declared but there has been unsatisfactory research conducted on how to actually apply this into the education site. This research will take the future key competencies findings from the previous research and investigate the relation to elementary Korean writing educ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will develop elementary Korean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hat can actualiz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s it was declared in the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form. This research claims that elementary Korean writing education must be able to strengthen character, creativity, and social competence through “managing self, thinking, using language · symbol · text, problem-solving, relating to others, participating and contributing in discourse community”.
    In addition, as an alternative to do this type of key competency education the “Models on elementary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key competency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was suggested. The “models on elementary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key competence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focused on “fun”, “integration”, “inquiry and communication” and “teachers language”. This was actualized in the levels of “Gateway activity based on visual image → investigation activity → asking questions through integrated investigation activity → choosing a genre → writing → sharing.
    This model is significant because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unsatisfactory writing education that is focused only on skill, process, methodology, and strategy that produces a voiceless schematic writing. Through a meaningful writing situation context and actual implementation one can cultivate their creativity, character and social competen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