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쓰기 과정 연구의 이론적 경향과 다원적 관점의 가능성 (Theoretical examination on the models of writing and the possibility of pluralistic perspective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5.03
38P 미리보기
쓰기 과정 연구의 이론적 경향과 다원적 관점의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작문연구 / 24호 / 51 ~ 88페이지
    · 저자명 : 김혜연

    초록

    이 연구는 쓰기 과정에 대한 기존의 전제들이 일원적 관점에만 치우쳐 있다는 점에 문제를 제기하고, 다원적 관점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여기서 일원적 관점이란 보편적이고 단일한 설명 체계로 현상을 이해하는 것을, 다원적 관점은 쓰기 과정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원리를 다루고자 함을 뜻한다. 일원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으로서 헤이즈와 플라워(Hayes & Flower, 1980)의 모형은 쓰기 과정의 인지적 연구의 가장 중요한 성과로 일컬어지고 있지만, 숙련된 전문가의 이상적인 쓰기 과정만을 모형화했다는 점, 그리고 글쓰기를 ‘사고의 일방적인 언어화 과정’으로 간주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또 하나의 일원적 관점으로서 켈로그(Kellogg, 1996)의 모형은 헤이즈-플라워 모형에 비해 하위과정들 간의 관계를 구체적, 개연적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여전히 ‘계획하기→번역하기’의 일방적 관계만을 다룬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반면에, 다원적 관점의 이론들은, 필자들의 쓰기 과정이 왜 달라지며, 어떤 점에서 달라지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베레이터와 스카다말리아(Bereiter & Scardamaila, 1987)는 미숙한 필자와 능숙한 필자의 쓰기 과정의 차이를 설명하였으며, 레일라르스담과 반 덴 베르흐(Rijlaarsdam & van den Bergh, 1996)는 쓰기 과정, 그중에서도 내용 생성하기와 관련하여 다양한 인지적 영향 관계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밝혔다. 한편, 갤브레이스(Galbraith)는 사고의 언어화로서의 문제-해결 과정 외에도 언어화 자체가 새로운 아이디어 생성을 이끄는 자의적 변증법의 과정에 주목하였으며(1999), 효율적 글쓰기에는 두 과정 모두 필요하다고 보았다(2009). 우리의 작문 교육과정이 주로 플라워-헤이즈 이론을 근간으로 삼았다는 점, 문제-해결 관점에 의거한 전략들이 때로 좋지 않은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다원적 관점을 반영하는 교육적 적용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problem that the existing assumptions on the writing process are mainly focused on unitary perspectives and to insist on the necessity of pluralistic perspectives. Unitary perspectives imply understanding by a single descriptive system, whereas pluralistic perspectives imply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that diversify writing processes. Hayes and Flower’s model (1980), the representative theory from the unitary perspective, is recognized as a pioneering and important achievement; however, it has limits because it models only skilled and ideal writing and the one-way transition from thought to translation. Kellogg’s model (1996), another unitary perspective, is assum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explains the relationship among sub-processes in a detailed and plausible way compared to the Hayes-Flower model; however, it has limits because of the one-way relationship described as “planning→translation.” In contrast, theories from pluralistic perspectives try to explain why writing processes diversify and what kind of diversity they have. The double models of Bereiter and Scardamaila (1987) explain the differences in writing processes between skilled and unskilled writers. The model proposed by Rijlaarsdam and van den Bergh (1996)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diverse influential relationships among cognitive activities. The knowledge-constituting model of Galbraith is focused on the dispositional dialectic that induces novel-idea generation (1999) as well as problem-solving processes; he also asserted that both processe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writing (2009). Considering that national writing curriculums in Korea have been mainly based on the Hayes-Flower model and its strategies have at times proven to be inappropriate—in terms of the problem-solving perspective—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treatments that reflect the pluralistic perspec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