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식민주의 예술의 정치적 전복 가능성으로서 다시쓰기 (A Study on the Re-writing as a Possibility of Political Overthrow of Postcolonial Art)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7.11
20P 미리보기
탈식민주의 예술의 정치적 전복 가능성으로서 다시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16권 / 2호 / 31 ~ 50페이지
    · 저자명 : 이봉욱

    초록

    오늘날 문화다원주의는 보편화된 사상으로써, 소외된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주변인들의 타자성과 정체성을 동등한 위치에서 수용되어야 한다는 생각들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과거 식민 지배를 받아왔던 지역이나 국가들이 정치적으로 독립을 경험한 이후에도 경제적 혹은 문화적으로 아직도 서구의 헤게모니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문화 다원주의 속에서 문화의 다양성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동일성을 추구하며 초국가적 동질화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선상에서 문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문화적 현실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하여 호미 바바(Homi Bhabha)의 이론인 탈식민주의를 바탕으로 서구를 대표하는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인 우위를 비판하고, 동시대 미술의 예술적 실천 가능성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호미 바바가 탈식민주의의 식민지 담론이 서구의 우월한 위상을 바탕으로 유럽의 타자들을 열등한 존재로 규정했던 바를 알아보고, 비서구 주체들로 하여금 서구의 우월한 식민주의적 헤게모니를 해체하고 극복하는 탈식민주의적 이론을 제시한다.
    호미 바바는 그의 이론의 핵심인 문화의 ‘혼성성(hybridity)’을 식민지 담론에서 저항 담론으로 사용하고 있다. 혼성의 공간은 식민지 문화, 권력을 흉내 낸 것으로 식민지적 정체성을 해체하고 동질화 과정을 전복하고 있다. 이러한 혼성성에서 나타나는 차이의 공간은 경계와 틈새의 공간으로 기존에 존재하는 패러다임 내부의 한계를 보완하는 것이 아니라 균열을 내고 새로운 사고의 전환을 요청하는 근본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겠다. 탈식민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2장에서는 호미 바바의 탈식민주의의 이론에서의 혼성성과 흉내내기에 대해 알아보고, 3장에서는 흉내내기에서의 다름을 통한 정치적 전복을 일으키는 예술에 대해 다룰 것이다. 4장에서는 식민주의적 동질화인 전지구화 담론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예술의 실천으로써 다시쓰기를 다룰 것이다. 피식민지에서 서구화의 확산은 문화의 혼성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혼성성의 틈에서 나타나는 정치적 저항의 가능성과 주변인들의 주체성, 정체성을 발견하는 것으로 ‘다시쓰기’라는 동시대 미술의 저항의 방법으로 제시한다.

    영어초록

    Multiculturalism is universal in today's world where there is growing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equality. But even though colonized regions or nations had achieved political independence, they are still influenced by western hegemony financially or culturally. And these bring about cultural homogenization rather than cultural diversity, and move in supernational homogenization.
    In this cultural reality this thesis is to criticize culturally, socially, politically dominant position of Western Europe and to suggest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contemporary art to deconstruct cultural colonization, based on the postcolonialism of Homi Bhabha.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cultures of imperialism in a 'post-colonial neo-colonized world' and to present the work of Homi Bhabha to deconstruct the western dominant colonial hegemonies.
    Bhabha suggests "hybridity" as a resistant discourse against the colonial culture. In the hybrid place the other mimic the colonial culture or identity, but they don't supplement the dominant ways but deconstruct them and overset the homogenization. Diffusion of western imperial culture appears in cultural hybridity, and the in-between place is seen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resistance and the other's identity. To practice the postcolonial art, we need to attention to 'Re-writing' of art.
    Based on this postcolonial discourse, chapter 2 is to find out hybridity and mimicry in the work of Homi Bhabha. Chapter 3 deals with the postcolonial art for political overthrow through difference of mimicry. And chapter 4 is to present re-writing for practice of the postcolonial art against colonial homogen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미디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