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題詠詩에 投影된 儒者의 雙磎寺 認識 硏究 (A Study on Confucianism's Perception of Ssanggyesa Reflected in Jeyeongs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2.12
30P 미리보기
題詠詩에 投影된 儒者의 雙磎寺 認識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61호 / 207 ~ 236페이지
    · 저자명 : 김진욱

    초록

    유자가 불교를 어떻게 인식했는가에 대한 답은 조선조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으며, 기록에 상당수 의지한 것이 사실이다. 역사에 기록된 세상과 문학에 반영된 세상은 상호보완적 작용을 하며 대상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러므로 한시 작품을 가지고 조선조 유자의 불교에 대한 인식의 한 단면을 고찰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일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소논문이라는 연구의 형식에 모두 담아내기는 부적절하므로, 논의의 집중을 위하여 사찰 제영시의 대표성을 지닌 쌍계사 제영시를 가지고 유자의 쌍계사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가 지속되었을 때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유자의 사찰에 대한 인식을 考究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쌍계사 제영시로 분류되는 작품은 총 27수가 있다. 이 중 유자의 작품이 25수이고, 부휴선사와 소요대사의 칠언절구가 각각 1편이 전한다. 이 중 17수의 작품을 가지고 유자의 쌍계사 인식을 고찰하였다. 먼저, 제영시에 투영된 쌍계사에 대한 유자의 인식은 풍광이 좋은 곳에 자리한 幽居 하고 싶은 공간이라는 것을 밝혔다. 제영시에 그려진 쌍계사는 더 이상 사찰이라는 특정 종교 공간이 아니라 은거하고 싶은 장소, 세상 밖 장소인 안식의 장소로 인식되었다. 여기에서는 孤竹의 <次雙磎詩軸> 등 6수의 작품을 분석하였고, 金安國의 <雙磎寺> 등 2개의 작품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유자의 쌍계사에 대한 인식은 쌍계석문으로 대표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유자에게 쌍계사는 쌍계석문이 있는 장소,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닐 수 없다는 것이다. 나아가 쌍계석문은 고운이 쓴 글씨가 아니라 고운과 동일시된 표상으로 나타난다. 유자에게 쌍계사는 쌍계석문, 쌍계석문은 고운으로 인식되기에 유자가 쌍계사를 찾는 이유는 불교의 사찰이라는 쌍계사의 본원적 의미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러므로 쌍계사는 고운이 은거했던 곳으로, 고운의 유허를 찾아볼 수 있는 공간으로서만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쌍계사 제영시에 그려진 쌍계사는 쌍계사 스님의 삶으로 대변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유자에게 쌍계사는 불교의 도량이 아니라 이상적 삶이 가능한 선계로 인식되었다. 쌍계사 제영시 속에서 쌍계사는 그곳에 있는 승려와 동일시되었고, 그러한 삶을 살아가는 승려는 동경과 선망의 대상이나 존숭의 대상으로 인식되었으며, 몇몇 작품에서는 인식 속에서나마 동화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여기에서 쌍계사 제영시 27수의 작품 중 17개의 작품을 대상으로 논의하였다. 그러므로 쌍계사 제영시 전 작품을 대상으로 논의하지는 않았지만, 논의를 위한 충분한 숫자라고 판단한다. 종합하면 제영시에 투영된 유자의 쌍계사 인식은 隱居를 위한 安息의 場所, 孤雲을 기린 遺墟의 場所, 尊崇을 표한 同化의 場所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러한 개별 사찰 제영시에 대한 논의는 사찰 제영시의 일반적 특성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유자와 불교의 관계를 이해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answer to how Confucianism perceived Buddhism will be an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Joseon Dynasty society. It is true that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a lot, and a lot of it has relied on records. he world recorded in history and the world reflected in literature will complement each other and help in understanding the subject. Therefore, with Chinese poetry works, one aspect of Confucianism's perception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was considered.
    Since it is inappropriate to include this work in the form of a research paper, Confucianism's perception of temples was considered with Ssanggyesa Jeyeongsi, which has the representative temple jeyeongsi, to focus the discussion. The Confucianist's perception of Ssanggyesa Temple shown in Ssanggyesa Jeyeongsi will be the basis for exploring Confucianism's perception of the temple revealed in the temple Jeyeongsi.
    There are a total of 27 works classified as Ssanggyesa Jeyeongsi. Among them, there are 25 works by Confucian scholars, and one piece each of seven-word phrases by Seon Buhyu and Soyo Daesa has been handed down. With this work, Confucianism's perception of Ssanggyesa reflected in the work was examined.
    First, Confucianism's perception of Ssanggyesa Temple projected in Jeyeongsi revealed that it is a place where people want to live in a place with good scenery. Ssanggyesa, which was drawn in Jeyeongsi, was no longer a specific religious space called a temple, but was recognized as a place of rest, a place outside the world.Here, 6 pieces of works, including Go Juk's <Chassang-gyesijeon>, were analyzed, and 2 works, including Kim An-guk's <Ssang-gye-si>, were introduced.
    Subsequently, it was revealed that Confucianism's perception of Ssanggyesa Temple was represented by Ssanggyesukmun Gate.To Confucian scholars, Ssanggyesa Temple could not have more meaning than the place where Ssanggyeseomun Gate was located. In addition, it was argued that Ssanggyesukmun was not written by Goun, but appeared as a symbol identified with Goun.
    To Confucian scholars, Ssanggyesa Temple was recognized as Ssanggyeseokmun and Ssanggyeseokmun as Goun, so he insisted that the reason why Confucian scholars visited Ssanggyesa Temple had nothing to do with the original meaning of Ssanggyesa Temple as a Buddhist temple. Therefore, Ssanggyesa is the place where Goun retired, and it has meaning only as a space where Goun's legacy can be found.
    Lastly, it was revealed that Ssanggyesa, which was drawn in the poems of Ssanggyesa Temple, is often represented by the life of Ssanggyesa monk. In the Ssanggyesa Jeyeongsi, Ssanggyesa was identified with the monk there, and it was argued that Ssanggyesa used to be recognized by Confucian scholars as a virtuous world capable of an ideal life, not a Buddhist magnanimity.
    Here, 17 of the 27 works of Ssanggyesa Jeyeongsi were discussed. Therefore, although we did not discuss all the works of Ssanggyesa Jeyeongsi, it is judged that the number is sufficient for the claim. In summary, Confucianism's perception of Ssanggyesa, reflected in Jeyeongsi, appeared as a place of rest for seclusion, a place of regret for Goun, and a collection of fairy tales expressing respect. In the future, the discussion of these individual temple jeyeongsi will help clar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mple jeyeongsi, and will be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