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흥 고쌈줄당기기의 특징과 가치 (The Reaturesand Value Jangeung Gossam Tug of Wa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3.12
46P 미리보기
장흥 고쌈줄당기기의 특징과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27호 / 167 ~ 212페이지
    · 저자명 : 이경엽

    초록

    장흥 고쌈줄당기기는 1930년대 후반까지 전승되다가 중단되었다. 그리고 30여년이 지난 1970년도에 재현되었다. 본래 정월에 하던 세시풍속놀이지만, 재현 이후에는 군민의 날에 열리는 보림문화제의 일환으로 전승되고 있다. 이른 시기에 알려졌지만 관련 연구가 많지 않다. 새롭게 확보한 자료들을 분석하고, 다른 사례들과의 비교를 통해 장흥 고쌈줄당기기의 특징과 가치를 살펴보았다.
    다른 지역 사례들과 비교해보면 남다른 특징들이 발견된다. 첫 번째는 고을형 축제 전통의 전형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장흥에는 도호부(都護府) 이외에 전남 남해안의 역로를 관장하던 관청이 있었는데, 소속이 다른 기관이 관내에 공존하면서 두 관아(官衙) 간의 경쟁 구도가 더해져 더 역동적인 줄다리기가 전승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특징인 놀이의 성대함과 역동성도 고을 축제 전통과 관련 있다. 편을 구성하는 방식과 마을 단위의 줄당기기가 큰 줄로 확장되는 방식 등에서 그것을 볼 수 있다. 20세기 기록에 등장하는 시끌벅적한 분위기와 재현 이후 유지되고 있는 전승의식도 전통에 대한 자부심과 연결돼 있다.
    장흥 고쌈줄당기기는 전승문화재로서의 가치와 의의를 갖고 있다. 고쌈줄당기기에는 지역의 역사적 내력이 담겨 있다. 특히 고쌈줄당기기를 매개로 반일 의식이 표출되었다는 이야기가 후일담으로 전하는데, 장흥 고쌈줄당기기가 당대의 특별한 역사적 경험과 연결돼 있다는 점에서 남다른 가치를 인정할 만하다. 그리고 현행 축제로 이어지고 있고 지역 공동체의 정체성을 표상하는 상징으로 해석되고 있다는 점도 관심을 끈다. 또한 학술적인 가치를 주목할 만하다. 장흥 고쌈줄당기기는 고싸움과 줄다리기를 모두 포함한다. 장흥에서는 두 놀이가 별개가 아니며 두 놀이가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칠석 고싸움이 줄다리기와 완전히 독립돼 있는 것과 대비된다. 고싸움과 줄다리기의 연계성을 보여주고, 두 놀이의 복합성과 확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장흥 고쌈줄당기기의 학술적인 가치는 각별하다.

    영어초록

    Jangheung ‘Gossam tug of war’ was transmitted until the end of 1930’s and it came to a halt. After 30 years, in 1970, it was reproduced. Originally, it is a seasonal custom of the day of the fir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 however, since its reproduction, it is transmitted as a part of Borim Culture Festival taking place on the Day of Province Residence. There is little research on it. This article analyzed the newly acquired materials and compared them with the other cases in order to examine the features and values of Jangheung Gossam tug of war.
    Comparing it to the cases of other regions, there are distinctive features. Firstly, it is a typical example of town-based festive tradition. In Janghueng, beside Dohobu, there was another government office which was in charge of travelling routes in the southern part of Jeonnam. The fact that two offices belonged to separate higher bodies might have added the competition between them, creating a more dynamic tug of war. Secondly, the magnitude and dynamic of the play are related to the town festive tradition. It is found in the way the sides are determined and how the tug of war on a town level expanded to the larger rope. The robust atmosphere documented in the record of 20th century and the transmission ritual maintained since the reproduction are related to the pride of tradition.
    Jangheung Gossam tug of war possess the value and meaning as a transmitted cultural heritage. In Gossam tug of war are documented the historical record of the region. Especially, it is said that Gossam tug of war served as a medium through which anti-Japanese sentiment is expressed, distinctive value can be confirmed in a sense that it is connected to the special historical experience at that time. Surviving as a current festival and being interpreted as a symbol which expresses the identity of local community is something to be reckoned with. Its academic value calls for attention. Jangheung Gossam tug of war includes loop fight and tug of war. In Janghueng, two plays are not separate and the two plays are connected consecutively. This contrasts it from Chilsuk loop fight because it is completely independent from tug of war. The academic value of Jangheung Gossam tug of war is significant because it shows differentiation process of loop fight and tug of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