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권 침해와 한국의 인간 대상화 현상: 감정 노동에 익숙해진 사람들을 위한 포커싱 영성 훈련 (Teacher’s Rights Violation and Human Objectification in Korea: Focusing Spiritual Practice for People Accustomed to Emotional Labor)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4.03
39P 미리보기
교권 침해와 한국의 인간 대상화 현상: 감정 노동에 익숙해진 사람들을 위한 포커싱 영성 훈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115권 / 357 ~ 395페이지
    · 저자명 : 한혜현

    초록

    교권 침해 문제 이면에 존재하는 한국 사회의 인간 대상화(human objectification)와 자기 대상화(self-objectification)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이 연구는 감정 노동에 익숙해져 자신의 존재를 잃어버린 사람들을 위한 치유의 과정으로 포커싱(Focusing)에 기반한 영성 훈련을 제안한다. 유진 젠들린(Eugene T. Gendlin)에 의해 시작된 포커싱은 몸의 인식에 집중하여 펠트 센스(Felt Sense)를 포착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존재에 주목하게 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영성 훈련은 지나치게 무거운 책임감과 사회적인 기대로 인해 자기 대상화가 일어난 교사들에게 잃어버린 자기의 목소리를 되찾게 하고, 교육의 서비스화 현상으로 인한 감정 노동으로부터 자신을 지켜낼 수 있게 한다. 괴물 부모(Monster Parents)라는 개념이 등장할 정도로 교사들은 학부모들의 지나친 민원 제기와 비합리적인 요구에 자주 노출되고, 정서적, 감정적으로 소진되기 쉬운 환경에 놓여있다. 이에 더해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높은 수준의 사회적 기대와 좋은 교사가 되고자 하는 본인의 열망, 공무원으로서 완수해야 하는 과도한 업무, 다양한 이유로 형성되는 책임감과 죄책감은 교사들이 홀로 감당해야 할 삶의 무게가 되어 그들을 짓누른다. 이 무거운 역할의 짐을 진 그들은 진실한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기보다, 사람들이 기대하는 이상적인 모습의 가면을 자주 쓰게 된다. 위와 같은 상황에 처해있는 교사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기 소외 현상과 자기 대상화의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인간 대상화를 지속해서 경험한 사람들이 가해자의 시선을 내면화하여 자기 자신을 수단으로 여기고, 기능적 인간으로 존재하는 것에 익숙해진 상태를 의미하는 자기 대상화는 감정 노동에 지속해서 노출된 사람들에게 자주 발견되며, 인간 대상화 현상이 사회의 각 분야에서 심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 안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현상이다. 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지금 자신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를 깨닫고, 자신의 인간성을 훼손하는 불합리한 상황 속에서 스스로를 지켜낼 수 있는 내면의 힘을 기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포커싱과 표현 예술 치료의 원리를 활용한 영성 훈련을 통해 사회적 역할이 자신의 인격에 고착되어 잃어버린 진정한 나를 되찾고, 자신의 존재에 집중할 수 있는 의식 전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suggests a spiritual practice based on “Focusing,” which was developed from an awareness of the severity of human objectific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in Korean society, shown through the recent issue of teacher’s rights violation. Focusing is a branch of psychology where participants concentrate on their own existence through a process of capturing felt sense via bodily awareness. This process can be healing for those accustomed to heavy emotional labor and who have lost a sense of their own existence because of objectification both by others and by themselves. A spiritual practice based on focusing allows those who have become self-objectified to listen to their inner voices and protect themselves from undue emotional labor. Teachers are frequently subjected to unreasonable complaints and demands from some parents. In addition, the high social expectations around the profession of a teacher, the individual’s own desire to become an ideal teacher, the excessive workload as a public servant, and an overwhelmi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guilt become burdens in the lives of many teachers. Such individuals often choose to wear the social mask of the ideal teacher, even though they are burdened by this heavy role and unable to be their true selves.
    In this situation, teachers are exposed to the dangers of self-alien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Self-objectification is a state in which people internalize the perpetrator’s gaze, see themselves as a means, and become accustomed to existing solely as functional human beings. Such a condition is often found in people continuously forced to undertake emotional labor and is common in Korean society, where human objectification is intense. What is essential is that people understand the kind of situation they are currently exposed to and develop the inner strength and resilience to protect themselves from unreasonable situations that damage their humanity. This article seeks to challenge teachers in their state of dominated consciousness so that they might find their true selves that have been lost due to their social roles and rehabilitate these through a spiritual practice that follows the principles of focus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