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시아 왕의 결혼식에 나선 이방 민족들, 신부인가 들러리들인가: 칠십인역 시편 44(45)편의 주석적 고찰 (Who are the Gentile peoples in the wedding of the Messiah, Bride or bridesmaids?: An Exegetical Study of the LXX Ps 44(45))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6.12
34P 미리보기
메시아 왕의 결혼식에 나선 이방 민족들, 신부인가 들러리들인가: 칠십인역 시편 44(45)편의 주석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 / 29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강수원

    초록

    번역은 그 자체로 하나의 주해이다. 원문이 다른 언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번역자의 언어적 습관이나 그가 살던 공동체의 사회-종교적 환경, 나아가 자신 또는 자신의 공동체의 신학적 사상이 반영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칠십인역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시가 가지는 언어적 다양성과 함축성에도 불구하고, 시편집의 번역이 다른 어떤 구약 성경 낱권들의 번역보다 원문에 충실한 번역임을 밝혀냈다. 과거 칠십인역의 번역 기법 연구들이 직역의 기준들을 제시하며 희랍어 본문이 얼마나 잘 번역되었는지를 문제 삼았다면, 최근의 연구들은 히브리어 본문과의 차이점들의 원인을 문법적, 언어적 관점에서 규명하고 그 안에 번역자의 신학적 주해 의도가 담겨 있을 가능성을 타진하는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시편 45(44)편은 대표적인 군왕 시편으로서, 전반부는 이방 민족들과의 전투에 나서는 용사로서의 메시아 왕을 묘사하고 있고, 후반부는 왕과 새 신부, 즉 들러리 처녀들의 시중을 받는 왕비와의 결혼식을 노래한다. 사실 히브리어 본문과 희랍어 본문의 차이점들을 관찰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차이점들은 고문서 연구 시에 흔히 발견되는 간단한 필사 오류, 절 구분의 미묘한 차이와 같은 언어적, 문법적 차원에서도 설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주목해야 하는 사실은 칠십인역 시편에서 발견되는 차이점들이 유독 이방 민족들과 관련된 기술들 안에서 발견된다는 점이다. 칠십인역 본문에서 이방 민족들과의 전투에 나서는 메시아 왕의 군사적 이미지들이 완화되고(cf. 칼의 기능을 장식으로 규정, 병거 이미지 삭제, 전쟁 기술 또는 군사적 위업의 언급 삭제), 결혼식 장면에서 신부 이스라엘이 아니라 오히려 들러리들인 이방 민족들이 마치 신부인 양(신랑에 대한 존경, 신랑에게 예물을 드림과 절함, 신랑에게 인도됨의 주체로서) 결혼식의 주인공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방 민족들은 메시아와의 결혼식의 새 신부요, 종국에는 성전으로 향하는 이들로 그려진다.
    ‘칠십인역 번역 당시의 실제 번역 대본’과 그로부터 번역된 ‘희랍어 일차 본문’을 갖고 있지 못한 상태에서, 번역자의 신학과 그가 속한 공동체의 사상에 대해 논하는 것은 여러 가지 방법론적 전제들을 요구한다. 그러나 적어도 마소라 본문의 권위와 괴팅엔 학자들의 본문 재구성의 노고에 의지하여 조심스레 본 작업을 결론짓자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시편 45(44)편의 칠십인역 본문은 이방 민족들이 메시아 또는 이스라엘과 갖는 관계를 보다 긍정적인 시각에서 표현하며, 과거에 이스라엘이 선택되어 주님의 신부가 되었듯 이제는 이방 민족들 모두가 주님과의 ‘혼인 관계’로, 주님의 성전에서 드리는 종말론적 예배에로 초대받았음을 천명하는 보편주의의 시각으로 본문을 재해석한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ranslation itself is an interpretation. It is because linguistic habits of translators or social-religious environment of their community, and moreover their or their communities’ theological ideas are reflected in the process when the original text is translated into other languages. Scholars who are working on Septuagint identified that translation of Psalter is the translation which is more faithful to the original than other translations of individual Old Testament books despite the linguistic diversity and implication of poetry. If studies in the past on the translation technique of Septuagint suggested standards of literal translation and made an issue of how well the greek text was translated, recent studies are concentrating on investigating the cause of differences from the Hebrew text from grammatical and linguistic perspective and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containing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ranslators.
    As a representative royal psalm, the first part of the Psalm 45 describes King Messiah as a warrior who is fighting in combat with gentile peoples, and the latter part sings about his wedding with a new bride, who is attended by bridesmaid virgins. In fact, it is not rocket science to observe differences between the Hebrew text and Greek text. As a matter fact, it is because many of the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at linguistic or grammatical level as simple graphical errors and subtle distinction in verses that are commonly found in paleographical research. However, the fact that actually needs to be focused on is that differences found in Septuagint Greek Psalm are particularly found in descriptions related to foreign ethnic groups. In Septuagint Greek text, military images of King Messiah who goes into battle against foreign ethnic groups are alleviated(cf. defined the function of sword as an ornament, deleted chariot’s image, deleted reference of war technique/military deed) and foreign ethnic groups who are rather bridesmaids are being suggested as a main character of wedding as if they are the bride(with honor for the groom, presenting wedding presents and bowing to the groom, as a subject who is led to the groom) instead of the bride Israel in wedding ceremony scene. Foreign ethnic groups are being depicted as a new bride of the wedding with Messiah and the ones who are headed towards the temple in the end.
    Discussing theology of a translator and ideology of his community without having ‘Hebrew Vorlage of the Septuagint’ and the translated ‘original Greek text’ demands for various methodological premises. The following can be said after carefully concluding this study by depending on the authority of Masoretic Text and hard work of reconstructing texts of scholars of Göttingen: the Greek text of Septuagint of Psalm 45(44) expresses a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ethnic groups and Messiah or Israel from more positive perspective, and reinterprets the text from the view of universalism which clarifies that all foreign ethnic groups have been invited to the eschatological worship in the Lord’s temple in ‘a marital relationship’ with the Lord as if Israel was selected and became the bride of the Lord in the p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