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색명의 한글화에 관한 연구 -규합총서의 오정색, 십간색 색채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Hangul color terms of traditional color -Focused on 5 Basic Color, 10 Secondary Color Terms in Gyuhapchongseo-)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7.09
14P 미리보기
전통색명의 한글화에 관한 연구 -규합총서의 오정색, 십간색 색채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5권 / 3호 / 171 ~ 184페이지
    · 저자명 : 정성환

    초록

    한국 전통색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글 색채어·색명 연구는 필요성에 비해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색 색채어·색명의 정교함과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연구와 한글색명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순 한글로 기록되어져 있는 규합총서의 전통색명 정색과 십간색의 15색명을 범위로 선행연구와 관련문헌과의 비교연구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글 색채어 채택의 기준을 한글 색채어, KSA 0011와 일치여부, 보편성, 적합성으로 정하였다. 이 기준에 의해 기본색 백, 황, 적, 청, 흑은 한글 색채어인 하양, 노랑, 빨강, 파랑, 검정, 흑백 간색은 순 한글 색채어인 잿빛, 분홍, 주황, 초록, 보라, 자색은 KSA 0011와 일치하여 규합총서의 색채어를 그대로 채택하였다. 벽색과 민색은 규합총서의 색채어를 채택하였다. 규합총서의 색채어 중 보편성에 문제가 있는 천색과 갈색은 보편성이 있는 색채를 채택하였다. 한국·일본·대만·중국의 기본색명을 비교를 통해 한자 색명의 불일치, 한국의 전통색, KS A 0011, KBS전통색명 연구, 국립현대미술관의 전통색 삼속성을 비교연구 한 결과 일치하지 않는 점은 전통 색채어 한글화 연구와 병행되어야 함을 밝혔다. 본 연구는 오정색과 십간색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는 연구자의 주관적 주장이라는 한계를 지니며, 후속연구는 지속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of Korean language color and color name which can secure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Korean traditional color is not active compared with neces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basic research and the hangeul color name which can secure the elaboration,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traditional color. The range of this study wa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ranging from the traditional basic color to the fifteen - color names of the fifteen colors, which were recorded in Hangu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riteria for adoption of Hangeul, the criteria for translating Han-gul color into Korean, KSA 0011, and conformity with Han-gul were decided. Depend on criteria for adoption, Chinese color terms were replaced in Korean color terms. As the results are as follow, White(白)-하양, Yellow(黃)-노랑, Red(赤)-빨강, Blue(靑)-파랑, Black(黑)-검정, Grey(黻)- 잿빛, Pink(紅)-분홍, Orange(熏)-주황, Purple(靘)-보라, Green(綠)-초록, Brown(黝)-갈색, Violet(紫)-자색, Ultramarine blue(黲)-민색, Light blue(碧)-벽색, and Light yellow(硅)-천색. Comparing the basic color names of Korean, Japanese, Taiwanese, and Chinese characters, the comparison of Korean traditional color names, Korea's traditional color, KS A30011, and the traditional color triad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hould compare with the study of the traditional color of Han-gul.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that the study of the author's subjective claim lacks objectivity and another limitation is 15 colors in the study range. Subsequent studies should contin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