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속신앙을 읽는 부호, 십간(十干)ㆍ십이지(十二支)에 대한 근원적 고찰 (A Fundamental Study on Sipgan and Sibiji, the Signs to Read Folk Faith)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1.06
44P 미리보기
민속신앙을 읽는 부호, 십간(十干)ㆍ십이지(十二支)에 대한 근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54호 / 259 ~ 302페이지
    · 저자명 : 김만태

    초록

    십간ㆍ십이지는 상고대 이래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수많은 문화 요소들과 결부되어 유의미하게 사용되고 있다. 여러 문헌ㆍ유물자료를 통해볼 때 한반도에서는 늦어도 5세기 전반부터 십간ㆍ십이지를 활용해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비록 한국의 고유 문화요소는 아니지만 십간과 십이지는 날짜ㆍ방위ㆍ색상 등과 연계되어 궁합ㆍ택일ㆍ운수 등 한국 민속신앙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십간의 10은 열 손가락을 가진 인간이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수법은 바로 10진법이라는 사실에서, 십이지의 12는 1년에 12삭망월이 있다는 사실에서 가장 크게 기인한다. 간지의 쓰임은 갑골문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간지(干支)’라는 명칭은 『논형』 「힐술편」에 처음으로 보인다. ‘간지’로 불리기 전에는 ‘일진(日辰)’과 ‘모자(母子)’로도 불렸다. 간지의 기원에 관해서는 황제가 그 스승이자 사관인 대요에게 명하여 제정했다는 설과 천황씨가 창안했다는 설, 황제가 하늘로부터 직접 내려 받았다는 설 등이 전해지고 있으나 역사적 사실로 보기는 어렵고 신화 상의 유래로 봐야 한다.
    『설문해자』를 비롯한 고문헌에 나타난 십간ㆍ십이지의 의미는 대부분 자연의 생장수장(生長收藏) 과정, 음양의 교차 순환, 사람의 신체 일부 등에 결부지어 설명되고 있는 반면, 갑골문에 나타난 십간ㆍ십이지의 의미는 대부분 물고기ㆍ새ㆍ벼, 그리고 수렵ㆍ어로ㆍ농경 도구 등을 직접 형상한 것이다. 고문헌상의 간지는 갑골문상의 간지와 달리 후대에 이르러 음양오행설로 채색되었다. 이렇게 음양오행의 상생상극 관념과 결합하면서 십간ㆍ십이지는 더 이상 단순한 부호가 아니라 상수화ㆍ신비화된 관념과 복잡한 술수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영어초록

    Sipgan and Sibiji have been used with significance, being connected to the numerous cultural elements of East Asia culture since the ancient times. Various literature and artifact materials indicate that they have been in use in the Korean Peninsula since as late as the former half the fifth century. Even though they are not unique parts of the Korean culture, they have been widely used in Korean folk faith including marital harmony predicted by a fortuneteller, choosing an auspicious day, and one's fortune.
    Sipgan originated from the decimal system, which is the easiest counting system to man with ten fingers. Sibiji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a year contains 12 months. The use of Ganji is traced back to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but the title of Ganji was first recorded in the Hilsul of Nonhyeong. It was also called 'Iljin' or 'Moja' before its name Gangji settled down. There are a couple of myths regarding the origin of Ganji; there is a myth saying that the emperor ordered Daeyo, his master and chronicler, to invent it; another saying that Cheonhwangshi invented it; and the other saying that the Yellow emperor inherited it from the Heaven himself. All of them are hardly historical facts, being strictly myths.
    While the most meanings of Sipgan and Sibiji in old literature including Seolmunhaeja ar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life and death process, circulating cycle of yin and yang, and man's body parts, those in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directly embody fish, birds, rice, hunting and gathering, fishing, and farming tools. Unlike that of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Ganji of old literature was colored with Yin-Yang and Ohaeng(Five Elements) Theory in later generations. Combined with the mutual survival and rivalry concept of Yin-Yang and Ohaeng, Sipgan and Sibiji got to have constant and mysterious concepts and complex conjury meanings beyond their simple roles as sig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