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동 쌍계사 나한전 석가여래삼존 및 십육나한상 연구 (Study on the Sakyumuni Buddha Triad Statues and the Sixteen Arhats in Nahanjeon(The Hall of Disciples and Arhats) of Ssanggyesa Temple, Hadong)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4.12
44P 미리보기
하동 쌍계사 나한전 석가여래삼존 및 십육나한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63호 / 69 ~ 112페이지
    · 저자명 : 손영문

    초록

    하동 쌍계사 대웅전 우측편에는 나한전이 존재한다. 나한전은 「쌍계사사적기문(雙磎寺事蹟記文)」(1857년) 등 여러 기록을 통해 숭정연간(崇禎年間, 1628~1644) 벽암각성(碧巖覺性, 1575~1660)이 중창할 때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각 내에는 나무로 만든 석가여래삼존상을 비롯하여 16나한상이 안치되어 있다. 그동안 이 16나한상은 양식적으로 막연히 17세기 전반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해 오고 있었으나, 2023년 한국미술사연구소에서 실시한 정밀 학술조사와 2024년 추가 조사 과정에서 조성발원문이 확인되어 그 제작 주체를 분명히 알 수 있게 되었다. 제작과 관련된 기록은 나한전 석가여래좌상의 대좌와 제15존자(현재 제1존자)의 내부, 그리고 다른 전각의 주존(主尊)으로 봉안되어 있는 팔상전 석가여래좌상에서 확인되었다. 우선 나한전 석가여래좌상의 대좌 묵서에는 1643년 수조각승(首彫刻僧) 밀영(密英)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확인되며, 제15존자 발원문에서는 제작시기와 시주자 등 간단한 기록만 남기고 있어 조각한 사람에 대한 정보는 확인되지 않는다. 그런데, 팔상전 석가여래좌상의 발원문에는 제작시기 뿐만 아니라 당시 석가여래와 함께 조성된 존상과 각 상의 시주자, 조각승 등 매우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이 3구의 존상에서 발견된 조성기와 발원문을 종합하여 존상을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른다. 원래 나한전의 주존불은 현재 팔상전에 봉안이며, 조각승은 승일(勝一), 찬인(贊印), 응혜(應慧) 등이 주도한 것으로, 실제 나한상의 양식과도 일치한다. 따라서 현재의 나한전의 주존불과 팔상전의 주존불은 근‧현대 어느 시점에 서로의 봉안장소가 바뀐 것으로 확인된다.
    쌍계사 나한전 존상들은 17세기 전반기 크게 활약한 승일파(勝一派) 조각승들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1644년에 조성된 매우 중요한 존상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더불어 현재의 주존불인 석가여래 역시 수연의 조각풍을 계승한 밀영이 1643년에 제작한 작품으로, 수연파 조각승의 전승과 활동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익한 자료이다. 특히 불상의 조성기록은 벽암각성이 화엄사에 이어 쌍계사를 중창할 때 나한전을 조성하였다는 사적기의 내용과도 일치한다.

    영어초록

    Nahanjeon is on the right side of Daeungjeon(The Great Hero Hall) of Ssanggyesa Temple, Hadong. Nahanjeon is known to have been built during Monk Byeokam Gakseong(1575-1660) and this is verified by various records, including the Ssanggyesa Temple Historical Records (1857). Nahanjeon houses the Sixteen Arhats statues, including a wooden statue of the Sakyumuni Buddha Triad Statues. Until now, it had been vaguely assumed that the Sixteen Arhats statues were cre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but a detailed academic investigation conducted by the Institute of Korea Art History in 2023 and further investigations in 2024 confirmed the origin of the statues and clarified who were sculptors. Records related to the production were found on the pedestal of the Nahanjeon’s sitting position statue of the Sakyumuni Buddha, the interior of the 15th Jonja(saint) statue (now the 1st statue), and the Palsangjeon(The Hall of Eight Aspects of Sakyamuni Buddha's life)’s sitting position statue of the Sakyumuni Buddha, which is enshrined as the main statue. Firstly, the main pedestal writings on the Nahanjeon’s sitting position statue of the Sakyumuni Buddha was confirmed that it was sculpted by the head monk sculptor Milyeong in 1643. the 15th Jonja(saint) origin text leaves only a brief record of the time of production and the patrons, so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sculptor. However, the text of the Palsangjeon’s sitting position statue of the Sakyumuni Buddha shows not only when they were made, but also when the statues were created and the sculptors and patrons of each statue.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drawn from reconstructing the statues by combining the composition and origin texts found on these three statues. The main Buddha of the Nahanjeon is currently enshrined in the Palsangjeon, and the sculptors were Seung-il, Chan-in, and Eung-hy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ir sculpting style of the Nahan statue.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statues of Nahanjeon and Palsangjeon Buddha were switched at some point in modern times.
    The statues of the Ssanggyesa Nahanjeon were created by the followers of sculptor Seungil, who was very activ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it is clear that they were created in 1644 and are considered important. In addition, the main statue of the Sakyumuni Buddha was created in 1643 by monk Milyeong, who inherited monk Suyeon's sculptural style. It is a very useful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inheritance and activities of the followers of monk sculptor Suyeon. In particular, the record of the making of the Buddha statue is consistent with the historical record that Monk Byeokam Gakseong built Nahanje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Ssanggyesa Temple after Hwaeumsa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후